교컴로고초기화면으로 header_kyocom
교컴메뉴
교컴소개 이용안내 소셜교컴 나눔마당 배움마당 자료마당 교과마당 초등마당 특수마당 글로벌교컴 온라인프로젝트학습 교컴 UCC
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컴 키우기 자발적 후원


:::: 교컴가족 로그인(0)

  • 주간 검색어
  • 현재 검색어
기간 : 현재기준

교컴 포토갤러리

수업방법 및 사례

[협동학습] 협동학습의 6가지 열쇠

함영기 | 2005.04.21 19:40 | 조회 10646 | 공감 0 | 비공감 0

 

 

                              

협동학습의 6가지 열쇠 |

2004/10/07 23:03

 

http://blog.naver.com/bejjangi/40006555204

 


김 현 섭(서울 대림중, 협동학습연구회 대표)

다. 수업 운영기술

 

교사가 준비되지 않으면 협동수업은 쉽게 실패할 수 있다. 지금까지 교사 자신조차도 일제학습, 경쟁 학습 구조 속에서 자라왔기 때문에 협동학습을 운영하는데 미숙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교사가 협동학습을 잘 이해하고 학생들을 지도하는 운영 기술을 세밀하게 준비되어야 보다 효과적인 수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① 각종 신호


협동학습에서는 다양한 신호를 개발하여 활용한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신호는 침묵 신호이다. 침묵 신호란 조용히 하고 교사에게 집중하라는 신호이다. 교사가 박수를 두 번 치고 오른 손을 들어 신호를 보내면 학생들이 오른 손을 들고 조용히 교사를 쳐다보도록 한다. 이때, 혼자만 손을 들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모둠에 소속된 다른 학생까지도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교사가 침묵 신호를 보내서 모든 학생들이 집중하게 되면 그제서야 손을 내리고 다음 단계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학생들이 만약 신호에 집중하지 않는다면 모든 학생들이 집중할 때까지 교사가 기다려주어야 한다.


학생들의 반응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반응 신호도 있다. 교사가 학생들의 이해 상태를 알아 볼 때 사용하는 신호로서 이해가 잘 되면 두 손으로 동그라미 표시를, 반쯤 이해했으면 두 손으로 일(一)자 표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두 손으로 엑스 표시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반응 신호를 사용하면 학생들이 수업 내용을 어느 정도 이해했는지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신호를 개발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교사가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통제(관리)하기 위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교사가 조용히 하고 교사에게 주목하라고 말로 지시해도 학생들이 쉽게 따르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러다보니 학생들의 주의 집중을 이끄는데만 해도 많은 시간과 노력을 허비할 수 있다. 이 때 침묵 신호를 활용하면 손쉽게 학생들의 주의 집중을 이끌어낼 수 있다. 처음에는 학생들이 신호에 따르게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보상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어느 정도 학생들이 신호에 익숙해지면 보상을 활용하지 않아도 좋을 것이다.

② 좌석 배치


협동학습을 원활하게 진행하려면 자리 배치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대부분의 교실의 자리 배치는 일제 학습 중심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협동학습으로 수업을 운영하려고 할 때 모둠 중심으로 활동할 수 있는 모둠용 원형 책상을 활용하거나 개인 책상들을 모아서 모둠 중심으로 책상과 의자를 재배치하여 운영할 수 있다.


 

 

협동학습 중심으로 자리를 배치하였을 때 학생들끼리 자리를 손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적당한 거리를 두어 동선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또한 교사가 각 모둠 활동을 할 때 이동하면서 각 모둠을 관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적당한 동선을 확보하고 교실 정면 교탁 쪽에 시야를 집중할 수 있도록 배려하면 좋을 것이다.

 

③ 교사의 역할


협동학습에서 교사의 역할은 한마디로 주도적 안내자 내지 매니저라고 할 수 있다. 협동학습에서 교사의 역할은 일방적으로 학생들에게 지식이나 정보를 가르치는 설교자가 아니다. 그렇다고 학생들이 적당하게 성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원사 역할을 하는 것도 아니다. 협동학습에 있어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공동체적 앎을 통하여 진리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조력자(helper)이자 안내자(guider)이자 매니저(manager)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교사는 학생들이 스스로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하면서 철저하게 계획하고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협동학습의 가장 큰 특징이 구조화이기 때문에 교사가 단계별로 세밀하게 고려하고 진행하지 않으면 수업은 자칫 엉망으로 될 가능성이 있다. 교사가 학생들을 통제하지 못한 상태에서 협동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힘들다.

④ 음악 사용


협동학습에서는 학생들이 자신들의 생각을 말하거나 듣는 것 등이 기본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자신의 생각이 정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바로 발표를 시키면 좋은 생각이나 아이디어를 얻기가 힘들다. 그러므로 다양한 활동에 앞서서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하거나 기술할 수 있도록 시간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즉 개별학습의 전제 없이 훌륭한 협동학습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학생들이 어떠한 주제에 대하여 고민하는 시간을 줄 때 음악을 적절하게 사용하면 좋다. 깊이있게 생각하여야 할 때는 조용한 클래식 음악이나 경음악 등이 좋을 것이고 활발하게 활동할 때에는 경쾌한 경음악 등을 들려주면 좀 더 나은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시간을 알려주는 타이머 대신에 시간이 정해진 음악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⑤ 학습 도구 개발 및 활용


협동학습에서는 간단한 학습 도구 등을 많이 사용한다. 물론 협동학습은 기본적으로 아무런 도구가 필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사람과 사람 사이의 상호 작용을 활발하게 이루어 나가는 데 초점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간단한 학습 도구를 적절하게 사용하면 원활하게 수업을 진행하는 데 도움이 된다.
모둠 활동 시간을 알려주는 타이머, 모둠의 생각과 문제를 풀 수 있는 모둠 칠판과 보드 마카, 지우개, 플래시 카드나 다양한 색지, 도미노 칲이나 이야기 공, 모둠 파일, 대화 카드 등 다양한 학습 도구를 개발하여 적절하게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⑥ 모둠 활동시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들 지도하기


교사가 아무리 수업을 원활하게 진행해도 모둠 활동시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나타나기 마련이다. 교사가 이러한 학생들을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에 대하여 훈련되어 있으면 좋다. 활동 시간에 소란스럽거나 교사의 지시에 잘 따르지 않는 경우나, 왕따되어 소외되는 학생 등의 경우가 나타나기 마련인데 이때 교사가 상황에 따른 적절한 지도를 해 나갈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하다.


라. 사회적 기술

 

① 사회적 기술의 중요성


사회적 기술이란 학생들끼리 서로 배려해 나가며 대인 관계를 맺어나가는 기술을 의미한다. 학생들에게 협동하려는 마음이 있어도 어떻게 해야 남을 배려하는 것인지 잘 모르는 경우도 많다. 협동학습에서는 사회적 기술 자체를 직접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 즉, 남을 어떻게 배려해야 하는지 세부적인 지침을 주고 실제로 반복하여 연습하고 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체계적으로 기울여야 할 것이다. 협동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사례들을 잘 살펴보면 대부분 학생들의 사회적 기술이 미흡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② 사회적 기술 센터 운영 및 칭찬 코너 운영


사회적 기술을 가르치는 데 있어서 제일 중요한 것은 왜 사회적 기술이 필요한지 학생들에게 이해시키는 것이다. 사회적 기술에 대한 충분한 동기 부여가 되지 않는 상태에서 사회적 기술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란 매우 어렵다.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키기 위한 좋은 방법 중의 하나가 사회적 기술 센터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것이다. 우선 교사가 학생들에게 필요한 사회적 기술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야 한다. 그 중에서 한 주일동안 특별히 지켜야 할 사회적 기술 한가지를 정하여 사회적 기술 센터에 게시한다. 그리고 시간이 날 때마다 교사가 강조하고 학생들에게 숙지시킨다. 그리고 일주일이 지나면 학생들에게 일주일동안 가장 사회적 기술을 잘 지킨 학생을 뽑아서 보상을 해주는 것이다. 이때, 물질적으로 선물 보상을 하거나 태도 점수에 반영할 수도 있겠지만 사회적 기술을 잘 지킨 학생을 칭찬 코너에 세부적인 칭찬 내용과 함께 게시하는 것도 좋다. 그리하여 다음 번 칭찬 주인공이 선출될 때까지 게시하여 여러 학생들에게 모범적인 학생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이다.

③ 시범과 강화


가르치는데 있어서 좋은 방법 중의 하나가 교사가 직접 시범을 보이고 학생들이 행동을 직접 따라 할 수 있도록 연습시키고 학생들이 잘 할 경우 즉각적으로 보상을 주어 긍정적인 행동이 고정될 수 있도록 강화시키는 것이다. 학생들에게 사회적 기술을 습득시키려면 교육이라기 보다는 훈련이라는 측면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다. 교사가 시범을 보이고 학생들이 반복하여 행동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몸에 체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이끔말 카드를 만들어 활용하는 것도 좋다. 즉, 사회적 기술을 적은 카드를 만들어 연습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④ 반성의 시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사회적 기술과 관련하여 학생 스스로 자신을 뒤돌아 볼 수 있는 반성의 시간을 갖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한 주일동안 남을 배려하지 못한 부분이 무엇인지 기술하게 하거나 스스로 반성하게 함으로써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킬 수 있다. 사회적 기술은 학생 뿐 아니라 교사에게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교사가 먼저 사회적 기술 훈련이 되어 있지 않으면 학생들을 제대로 훈련시킬 수 없다. 즉, 교사가 먼저 동료 교사나 학생들을 세심하게 배려하는 습관이 몸에 배여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 기본원리

 

① 긍정적인 상호의존


긍정적인 상호 의존이란 \'다른 사람의 성과가 나에게 도움이 되고 나의 성과가 다른 사람에게도 도움이 되게 하여 각자가 서로 의지하는 관계로 만드는 것\'이다. 협동학습은 공동의 학습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함께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학습자가 서로 협동하지 않으면 학습 목표나 과제 자체를 이룰 수 없도록 의도적으로 구조화시킨다.


긍정적인 상호의존의 개념을 이해했다는 것은 모둠이 성공하려면 구성원 개인 모두의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과 나와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유기적으로 엮어서 학습에 있어서 나의 성공이 다른 사람에게 실질적인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모둠 과제를 완성하기 위해 모둠 구성원 모두가 각각 고유의 역할, 과제, 자료 등이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 긍정적인 상호의존은 학생들에게 우리는 공동의 운명을 지녔다는 자연스러운 공동체의식을 가지게 하고 나의 일이 남에게 도움이 되면서 남의 일이 나에게 도움이 된다는 사실에서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책임감과 자신감을 갖게 만들어 준다.


긍정적인 상호의존을 위해서는 학습 목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공동 과제를 수행했을 때 보상하고 격려해야 한다. 그리고 같은 공동체 일원임을 느낄 수 있도록 정체성을 가지고 공동 과제에 대한 과제를 분담하고 개인에게는 의도적으로 불완전한 과제를 부여하는 것이다. 과제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도 세부적인 역할을 분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하나는 전체를 위하여, 전체는 하나를 위하여\'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② 개인적인 책임


기존 조별 학습은 학습 활동이 주로 모둠(집단) 단위로 이루어지다 보니까 모둠(집단) 속에 개인이 숨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하여 \'무임승차자\'나 \'일벌레\' 내지 \'방해꾼\'이 나타나는 경우가 생긴다. \'무임 승차자\'란 자신은 전혀 공동 작업을 하지 않았으면서도 모둠 점수를 덩달아 받는 사람이다. 반대로 \'일벌레\'란 자신의 분량보다 많은 과제를 하는 사람이다. \'방해꾼\'은 자기가 속한 모둠이나 다른 모둠의 과제를 수행하는 데 오히려 문제를 일으키는 사람이다. 그러다 보니 학습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평가에 있어서 공평성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협동학습에서는 구성원간의 협동을 중시하면서도 동시에 구성원 개인에 대한 책임을 분명히 해야 한다. 개인적인 책임(책무성)이란 학습과정에 있어서 집단 속에 자신을 감추는 일이 없도록 개인에 대한 구체적인 역할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것이다. 예컨대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으면 그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게 하거나 평가에 있어서 불이익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즉, 평가할 때 \'무임 승차자\'나 \'방해꾼\'은 모둠 전체 점수와 상관없이 감점 처리하거나 \'일벌레\'는 반대로 가산점을 주어 개인의 역할 기여도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개인적인 책임을 강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상을 할 때 모둠이나 학급 전체 보상과 함께 개인 보상을 동시에 하는 것이다. 예컨대 칭찬 티켓으로 보상을 주는 경우 팀 티켓과 개인 티켓을 나누어 활동 단위에 따라 티켓을 부여하고 나중에 팀 티켓과 개인 티켓을 합하여 최종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개인의 역할에 따라 그에 대한 분명한 책임을 지우도록 하는 것이다.

 

③ 동등한 참여


동등한 참여란 학습자 모두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면서 일부에 의해 독점되거나 반대로 참여하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하자는 것이다. 기존 조별 학습의 경우를 살펴보면 발표력이 뛰어난 학생이나 외향적인 학생들이 모둠 내에서 발언을 독점하는 경우가 많고 반대로 발표력이 부족하거나 내성적인 학생들은 모둠 활동에서 쉽게 소외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려는 것이 바로 동등한 참여이다. 즉, 누구나 학습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동등하게 부여하고 역할과 책임도 각자에게 동등하게 나누자는 것이다. 물론 개인마다 가지고 있는 특성이나 능력이 다른 상황에서 동등한 기준의 행동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자신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동등하게 부여함으로써 공동체 속에서 자신이 차지하고 있는 부분을 실질적으로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므로 동등한 참여는 각자의 개성과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공간을 열어주자는 것이다.


동등한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중의 하나가 대화 칲을 사용하는 것이다. 토의하기 전에 대화 칲을 각각 학생들에게 2개씩 똑같이 나누어준다. 그리고 모둠 토의시 자신이 이야기하고 싶은 경우 대화칲을 한 개씩 책상 위에 내려놓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대화칲을 다 사용하면 더 이상 발언할 수 있는 기회가 없다. 나머지 다른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대화 칲을 다 사용하기까지 기다려야 한다. 나머지 학생들이 대화 칲을 다 사용하였다면 다시 대화 칲을 들고 대화 칲을 이용하여 새로운 발언 기회를 가지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또한 동등한 참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구성원 모두에게 과제를 일정하게 분담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끔이, 기록이, 칭찬이, 지킴이 등 모둠 구성원 개인의 역할을 고정적으로 운영하기보다는 일정기간마다 돌아가면서 역할을 바꾸어 운영할 수 있다. 그리고 교사가 수업하거나 평가할 때 특정 학생만을 중심으로 학습 활동을 운영하고 그에 맞게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학생들을 동등한 위치에 놓고 각 학생들의 개성과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수업을 디자인하고 평가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④ 동시다발적인 상호작용


모든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교육적 이상일 것이다. 현실적으로 제한된 수업 시간 안에 모든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학습 목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한 것이 동시다발적인 상호작용이다. 즉, 학습 활동이 동시다발적으로 여기저기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동시다발적인 구조의 반대는 순차적인 구조이다. 순차적 구조란 순서대로 한 명씩 나와서 학습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1분씩만 이야기해도 한 학급에 35명이라면 학생들이 움직이거나 자리 이동하는 시간을 빼더라도 35분의 시간이 필요하다. 그래서 대개 기존 수업에서는 2-3명을 교사가 선정하여 발표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으로 발표를 시키면 실제로 발표 기회를 가질 수 있는 학생은 2-3명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순차적인 구조에서는 동등한 참여를 기대할 수 없다. 만약 순차적인 구조에서 동등한 참여를 이루려고 한다면 시간상 제한이 따르고 수업 자체도 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동시다발적인 구조는 이러한 순차적인 구조가 갖는 한계를 극복한다. 예컨대, 한 사람당 1분 씩 발표 기회가 주어진다면 짝 토의 방식은 2분이면 모든 학생들이 발표하고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돌아가며 이야기 구조를 활용하면 4분이면 충분하다.


동시다발적인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동시동작\'과 \'동시멈춤\'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학습 시작과 마침을 교사가 동시에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학습 자료를 배분할 때 교사가 전체 학생들에게 나누어주는 것이 아니라 각 모둠의 자료 담당자가 자기 그룹에게 나누어주는 것이다. 주제에 대해 발표시킬 때도 한번에 한 명씩 발표하는 게 아니라 모든 학생들이 둘씩 짝지어 나누게 함으로써 모두가 동시에 발표하는 것이다. 질문이 있을 때에도 손을 들고 선생님이 오시길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모둠 동료에게 즉각적으로 질문하고 해답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교사가 질문을 던져 한사람씩 발표하는 것보다 전체가 질문에 대하여 대답하게 하는 것이다. 토의나 필기를 할 때도 동시에 시작하고 동시에 마치는 것이다. 물론 하던 것을 다 마치지 못했어도 그 상태로 정지시킨다. 부족한 것은 별도의 시간을 주거나 숙제로 부과해서 일부 때문에 전체 진행에 무리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계속하여 수업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아이들 스스로 시간에 따라 자신을 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우리의 교육 현실상 교사 1인이 35명 이상의 다인수 학습집단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래서 효과적으로 전체 집단을 통제하기 위하여 몇 가지 신호를 정하여 활용하는 것이 좋다. 시간이 어느 정도 남았는지 알려 주는 시간 신호, 학생들을 집중시키는 침묵 신호, 학생들의 이해 정도나 반응을 확인할 수 있는 반응 신호 등을 적절하게 활용하면 좋을 것이다.

 

6) 구조


① 구조의 의미


구조란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사이의 상호 작용 방식이나 틀을 의미한다. 구조 중심의 협동학습을 강조하는 케이건은 다양한 협동학습 수업 기법들을 협동학습 구조라는 개념으로 이해한다. 케이건은 구조를 일종의 블록에 비유한다. 상호 작용 방식의 단위로서 구조를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건의 구조 개념에 따라 수업을 이해한다면 수업은 일종의 블록 쌓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협동학습이 수업 시간에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것은 협동학습 구조들이다. 그러므로 교사가 협동학습을 활용하여 다양한 수업 전략을 세우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협동학습 구조들에 대하여 충분히 숙달되어야 한다. 협동학습 초보자의 경우, 구조 삽입이라는 방식으로 접근하면 좋다. 즉, 기존 수업에서 협동학습으로 풀어내기 좋은 학습 내용을 선정하여 그에 맞는 적절한 협동학습 구조를 삽입하는 방식이다. 다양한 협동학습 구조들을 잘 활용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면 교사는 다양한 구조들을 활용하여 수업 전체를 적절하게 디자인을 할 수 있을 것이다.

 

② 구조 분류


케이건은 협동학습 구조들을 그 활용 목적에 따라 학급 세우기, 모둠 세우기, 암기숙달구조, 정보교환구조, 사고력 신장 구조, 의사소통기술구조 등으로 나눈다. 학급 세우기란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활동할 수 있는 구조들로 모둠과 모둠 간의 협동을 강조하거나 모둠이라는 단위를 넘어설 수 있는 구조를 말한다. 대표적인 구조로서 \'이 사람을 찾아라\', \'학급 온도계\' 등이 여기에 속한다. 모둠 세우기란 모둠 내에서 모둠원 간에 친밀성을 높이고 같은 공동체 의식을 심어주기 위한 것으로 \'창문열기\', \'모둠 구호\', 다양한 협동 놀이 등이 있다. 암기숙달구조란 학생들간에 함께 암기할 수 있는 구조를 의미하는 데, 대표적인 것으로 \'플래시 카드 게임\', \'퍼즐 맞추기\' 등을 들 수 있다. 정보교환구조는 개인이나 모둠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정보를 다른 사람이나 모둠과 나눌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하나가고 셋남기\', \'전시장 관람 구조\', \'모둠 인터뷰\', \'칠판 나누기\' 등이 있다. 사고력 신장 구조는 학생들이 집단 사고 과정을 통하여 고등 사고(High Order Thinking)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구조들이다. \'모둠 문장 만들기\', \'이야기 엮기\'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의사소통기술 구조는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구조이다. 즉, 의사소통기술 구조 자체로 학습 내용을 다루기보다는 구조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 보다 효과적으로 도움을 주도록 고안된 구조를 말한다. 짧은 시간 안에 대표를 선발할 수 있는 \'하나, 둘, 셋!\', 동등한 참여를 위해 고안된 \'대화 칲\' 등이 있다. 이러한 구조 분류는 활용 목적에 따른 임의적 분류이다. 실제로 수업에 활용하는 데 있어서 한 구조가 다른 활용 목적을 가지고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폭넓게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 도표는 협동학습 구조들을 여러 가지 활용 목적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5. 협동학습 실천을 위한 몇 가지 제언

 

협동학습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다음 몇 가지를 주의깊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첫째, 무엇보다 교수 학습 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인식 전환과 협동학습에 대한 신념이 필요하다. 협동학습을 공부하게 되면 수업활동에 대한 인식이 바꾸어지게 된다. 특히 수업활동에 있어서 학습구조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게 된다. 그런데 교사가 협동학습을 단순히 하나의 교육풍조 내지 유행으로 생각한다면 성공적인 협동학습을 실행하기 어려울 것이다.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 나름대로의 고민과 깊은 성찰이 있을 때 비로소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교사의 철저한 사전준비가 필요하다. 교사가 섣불리 협동학습을 시작했다가는 실패하기 쉽다. 그러므로 협동학습의 기본원리를 무엇보다 잘 이해하고 교사 자신의 스타일에 맞는 협동학습 방법을 찾아내고 이를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처음으로 협동학습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보상제도와 몇 가지 신호, \'생각-짝-나누기\'나 \'짝 토론\' 등 간단한 방법부터 적용해 보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런 다음 어느 정도 자신감이 붙었을 때 보다 복잡한 구조나 방법들을 적용해 나가는 것이 좋다. 어떤 방법이 실패한 경우 그만 둘 것이 아니라 그 원인을 분석하여 보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는 협동학습으로 해결할 과제를 엄선하여 이를 주어진 수업시간 내에 소화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과제를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한 시간의 수업활동에도 서너 가지 이상의 다양한 학습구조들을 활용할 수 있다. 학습 주제에 따라 적절하게 구조를 선택하고 주어진 시간 안에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협동학습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 내용이 너무 많아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어진 제한 시간 안에 성공적으로 수업을 마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제한 시간 안에 해결할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학습자료들을 재구성해야 한다.


넷째, 교사가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협동학습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 많은 사람들이 교실이 산만해지고 무질서해질까봐 우려한다. 사실 협동학습을 한다고 하면서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통제하지 못하면 그것은 결코 협동학습이라고 볼 수 없다. 협동학습의 성패는 수업에 대한 철저한 구조화와 학생들을 적절하게 통제하는 데 달려있다. 협동학습의 장점중의 하나가 기존 수업방식이 부정적 체벌 위주로 통제하는 데 비해 협동학습은 긍정적 보상을 통해 통제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협동학습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개발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경쟁 요소를 도입하여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협동학습이라고 해서 무조건 경쟁을 배격한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협동을 위해서 적절하게 경쟁을 도입하면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고 협동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다.


여섯째, 교사가 수시로 협동하는 방법이나 의사소통기술 등 사회적 기술을 직접 가르쳐야 한다. 비록 과제를 분담하고 각자에게 고유한 역할을 부여했다고 해도 수업을 하다보면 잘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교사는 수시로 사회적 기술을 가르쳐서 수업과정에 있어서 협동의 원리가 잘 구현될 수 있도록 지도해 나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일곱째, 모둠 활동에 대한 교사의 관찰과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다. 학생들에게 과제만 부여하고 교사는 가만히 이를 지켜보아서는 성공적인 수업을 할 수 없다. 학생들이 협동하여 공동의 학습목표를 잘 이룰 수 있도록 교사는 모둠을 돌아다니며 지도해야 한다. 주어진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모둠에는 칭찬카드를 부여하여 더욱 활동을 적극적으로 강화시키고 반대로 제대로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모둠에는 직접 개입하여 주제에 대한 설명이나 작품을 만드는 데 일정 수준 이상에 도달할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여덟째, 모둠 구성이 모둠 활동 성패의 중요 요소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실제 협동학습을 실시해보면 여러 가지 조건(성적, 교우관계 등)을 고려하여 위에서 제시한 다양한 방법으로 모둠을 구성해도 일부 모둠은 문제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특히 학습활동에 전혀 참여하지 않는 학생이 있거나 소극적인 학생들이 모여있는 경우 모둠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한다. 이런 경우 일부 학생의 자리를 재배치하거나 일정기간마다 적절하게 모둠을 다시 구성하여 활동격차를 최소화시키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특히 협동학습은 이질적인 학생들을 구성하기 때문에 협동이 잘 이루어지면 많은 효과를 거둘 수 있겠지만 모둠 안에서 이질성이 잘 극복되지 못하면 오히려 수업이 망쳐질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하나의 방법으로만 일년 내내 모둠을 재구성하는 것보다는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모둠을 재구성하면 좋고 학교의 특성이나 학생들의 성향에 따라 적절한 구성원칙을 찾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끝으로 모든 단원을 협동수업으로 할 수 없고 그래서도 안된다. 왜냐하면 단원 내용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여러 가지 구조를 활용해야지 무리하게 협동학습을 적용하려고 하면 오히려 역효과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 참고문헌

  • 정문성, 협동학습의 이해와 실천, 교육과학사, 2002
  • 김현섭 외, 아이들과 함께 하는 협동학습, 2000
  • 권진하 외, 교회 협동학습1·2, 예찬사, 2001
  • 수원중앙기독초 협동학습팀, 협동학습을 위한 첫걸음, 2000
  • Jacob 외, The Teacher\'s Sourcebook for Cooperative Learnning, Corwin Press, 2002
  • Kagan, 『Cooperative Learning』, Kagan Publications, 1994

 

 
좋아요! 싫어요!
twitter facebook me2day
531개(10/27페이지) rss
수업방법 및 사례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추천] 지식채널 연작 시리즈 및 활용 사례 첨부파일 [19+3] 교컴지기 111426 2009.10.06 10:38
공지 교사를 위한 Teaching Tips 61가지 사진 [17+4] 교컴지기 118961 2009.03.07 08:12
공지 정기고사 출제 길잡이 첨부파일 [13] 함영기 101278 2006.09.26 21:04
공지 [사례] 좋은 수업 만들기 - 수업 기술 100選 첨부파일 [40] 함영기 108411 2006.05.30 10:58
347 [협동학습] [협동학습] LT(Learning Together) 모형 함영기 10746 2005.04.21 20:09
346 [협동학습] [혇동학습] pro-con논쟁수업모형 함영기 13582 2005.04.21 20:07
345 [협동학습] CIRC(Cooperative Integrated Readi 함영기 5643 2005.04.21 20:05
344 [협동학습] [협동학습] TAI(Team Assisted Individualizati 함영기 7363 2005.04.21 20:05
343 [협동학습] [협동학습] TGT(Teams Games Tournaments) 모형 사진 함영기 8114 2005.04.21 20:04
342 [협동학습] [협동학습] STAD(Student Teams-Achievement Di 함영기 10332 2005.04.21 20:03
341 [협동학습] [협동학습] Co-op Co-op 모형 함영기 9382 2005.04.21 20:02
340 [협동학습] [협동학습] JIGSAW, JIGSAWⅡ, JIGSAWⅢ모형 함영기 13944 2005.04.21 19:53
339 [협동학습] [협동학습] 협동학습에 대한 7가지 오해 함영기 6616 2005.04.21 19:51
338 [협동학습] [협동학습] 협동학습의 11가지 장점 함영기 10154 2005.04.21 19:42
>> [협동학습] [협동학습] 협동학습의 6가지 열쇠 사진 함영기 10647 2005.04.21 19:40
336 [협동학습] [협동학습] 협동학습의 쟁점 첨부파일 함영기 5405 2005.04.21 19:29
335 [협동학습] [협동학습] 중학교 국어과 영역별 수업, 협동학습 및 수행평가 첨부파일 함영기 5692 2005.04.21 19:28
334 [협동학습] [협동학습]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가치 내면화 학습 과정안 첨부파일 함영기 5244 2005.04.21 19:27
333 [협동학습] [협동학습] 원격학습과 면대면학습의 효율성 비교 첨부파일 함영기 4277 2005.04.21 19:24
332 [협동학습] [협동학습] 협동학습을 통한 반응중심의 창의력 계발학습 첨부파일 함영기 5445 2005.04.21 19:23
331 [협동학습] [협동학습] 바로 알고 가르치기 첨부파일 함영기 5646 2005.04.21 19:21
330 [협동학습] 초등학교 사회과 의사결정 학습에서 협동학습의 효과 첨부파일 함영기 4644 2005.04.21 19:19
329 [협동학습] 협동학습의 수업 모형 첨부파일 함영기 11535 2005.04.21 19:17
328 [협동학습] [협동학습] 사회과 협동학습 이렇게 해봐요! 첨부파일 함영기 6583 2005.04.21 1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