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컴로고초기화면으로 header_kyocom
교컴메뉴
교컴소개 이용안내 소셜교컴 나눔마당 배움마당 자료마당 교과마당 초등마당 특수마당 글로벌교컴 온라인프로젝트학습 교컴 UCC
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컴 키우기 자발적 후원


:::: 교컴가족 로그인(0)

  • 주간 검색어
  • 현재 검색어
  1. 십대를 위한 드라마 속 과학인문학 여행
  2. 과세특 3
  3. 생활기록부 예시문 4
  4. 명찰
  5. 지도
  6. 배치 8
  7. 오월길 삼행시
  8. 4학년 수학
  9. 우리 국토의
기간 : ~
  1. 다문화
  2. 교육
  3. 예비교사
기간 : 현재기준

교컴 포토갤러리

교육학_이론과 실천

학교는 시장이 아니다 5장 발제

날샌 부엉이 | 2018.01.17 18:30 | 조회 3567 | 공감 0 | 비공감 0

5. 세계 시민

 

. 세계 시민 교육의 필요성

전 지구적 상호 의존성이라는 우리 삶의 양태는 세계 시민교육을 요청한다. 이는 학생들에게 혼성적인 세계의 구성원으로 자신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과 이 세계에 살고 있는 다양한 집단들의 성격과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일이다. 아이들은 집단과 국가들 간의 문화적 차이점과 그 차이를 넘어서는 공통의 인간적 필요와 관심을 이해해야 한다.

세계사 교육은 자국에 대한 깊은 이해를 위해, 그리고 당면한 전 지구적 문제(지구온난화, 바람직한 무역법규, 환경과 동물보호, 핵에너지 미래와 핵무기 위협, 노동의 이동, 매매성범죄강제노동으로부터의 아동보호 등)에 대해 책임지기 위해 필요하다. 국제 경제의 작동원리와 경제 제도의 역사, 해외 투자자와 초국적 기업의 역할을 알 때 지역주민들의 삶을 결정하는 것들에 대해 알게 된다. 세계의 다양한 종교 전통에 대한 교육도 세계 시민으로 길러 내는 전략이다.

 

학생들은 현 제도들이 어떻게 작동되고 있는지, 대중의 사회적 삶의 조건을 개선하고자 세계의 여러 나라에서 시작된 새로운 운동들은 무엇인지 숙지해야 한다. ”

-타고르

듀이도 역시 세계시민정신 교육을 위해 역사와 지리, 특기 경제사를 강조했다. 경제사는 정치사에 비해 보다 인간적이고 보다 민주적이며 그리하여 보다 사람을 해방시킨다.

 

. 세계 시민 교육의 내용과 방법

 

세계 시민 정신을 위한 교육은 역사, 지리, 문화에 관한 다학제간 연구, 법률사, 정치 체제사, 종교 연구 분야의 교육들이 요청된다.

세계에 대해 가르치지 않고, 학생들에게 국제 이슈들에 대해 책임지는 자세를 개대할 수 없다. 하나의 신념체계에 입각하여 세계의 역사와 다양한 문화들을 왜곡되게 묘사하거나 생략하는 것도 경계해야 한다. 비판적 사색 대신 암기하도록 하는 것과 한 가지 정사만을 강요하는 교수법도 위험하다.

세계사지리문화연구는 오직 탐구와 비판적 사색의 방식으로 교육될 때에만 인간계발에 보탬이 된다. 어떻게 역사가 여러 다양한 자료와 증거들을 통해 조합될 수 있는지 어떻게 증거들을 평가할 것인지, 어떻게 하나의 역사적 서사를 다른 서사에 비추어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 하나의 타지역을 심도 깊게 연구하여 전문가가 되는방법도 익혀야 한다. 경제학 원리에 대한 학습은 소비자와 투표권자로서 지각 있는 결정을 할 수 있게 한다.

외국어 교육은 다른 문화 지성인의 세계관과 대면하게 하고 번역의 불완전함을 이해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문화적 겸허함에 관한 근원적 가르침을 준다.

조국에 대한 공부는 타 민족과의 경제적정치적문화적 관계들 속에 있는, 복잡하게 서로 맞물려 있는 세계의 일부분으로 인식할 줄 아는 사람으로서 해야 한다. 또 자기 나라의 여러 하부 집단들, 그들의 다채로운 역사와 상이한 삶의 기회에 관심을 가지도록 다문화적이어야 한다.

 

. 인문학 교육과 세계 시민 정신

 

세계시민정신을 갖추는 데 많은 사실적 지식이 필요하지만 그것만으로 충분하지 않다. 역사적 증거에 대한 평가능력, 경제학 원리에 대한 비판적 사유능력, 그 원리의 비판적 활용능력, 사회 정의론에 대한 평가능력, 외국어 활용 능력, 주요 종교 문제들에 대한 이해 능력 등 인문학 교육의 기술과 기량을 통해 더 강한 책임감을 갖춘 시민정신을 기를 수 있다. 단순히 사실적 지식에 관련한 교육은 엉터리 주장과 타당한 주장을 구별할 수 없게 한다. 세계사와 경제학에 관한 지식은, 인문학적이며 비판비평적인 것이어야 한다. 지역에 관한 학습, 정의에 관한 철학적 이론 학습과도 병행되어야 만 한다. 그 앎과 지식은 우리가 반드시 해야 하는 공적 토론의 유용한 기초를 제공해 줄 것이다.

고등학교에서의 교육으로는 부족하며 대학에서 전공 외에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문교양 교육체계를 세워야 한다.

 

생각해 볼 문제

1. 선생님이 가르치는 교과에 누스바움이 말한 세계 시민 교육과 관련되는 내용이 있다면?

2. 세계시민교육을 위해 사실적 지식을 탐구와 비판적 사색의 방식으로 가르치고자 할 때 교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성으로는 무엇이 있을까?

좋아요! 싫어요!
twitter facebook me2day
194개(5/10페이지) rss
교육학_이론과 실천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민주주의와 교육> 공부 순서 알림 교컴지기 22021 2019.03.16 19:44
공지 <민주주의와 교육> 6월 모임 안내 마녀쌤5188 20955 2019.05.23 12:55
112 [참고자료] 다시 생각하는 평가, 관찰하고 기록하기 [1] 교컴지기 3603 2018.06.01 10:52
111 [공지사항] 첫 번째 읽기 자료 '수업전문성의 두 측면, 기술과 이해' [1] 교컴지기 3597 2013.04.26 17:50
110 [느낌나누기] 수업전문성으로 본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고민 [1] 히말라야시타 3590 2013.05.13 22:39
109 [공지사항] 두번째 읽기자료가 배부되었습니다. 첨부파일 [11+8] 교컴지기 3579 2013.05.22 08:39
>> [발제문] 학교는 시장이 아니다 5장 발제 날샌 부엉이 3568 2018.01.17 18:30
107 [느낌나누기] 교육에 대해서 정확하게 말하기 위한 전제 조건들 [2+1] tempest21 3554 2018.11.12 18:27
106 [비판적리뷰] 그 많은 신지식인들은 어디 갔을까? [4+1] 노유정 3516 2013.07.01 10:11
105 [참고자료] #세상에서 가장 이상한 평가 (1) 최근 입시 논란 용어 정리 편 tempest21 3493 2018.05.14 14:09
104 [토론] 교육과정의 재개념화와 혁신교육, 토론을 시작합니다. [1+2] 교컴지기 3492 2013.09.09 11:01
103 [느낌나누기] 첫번째 읽기 자료(수업전문성의 두 측면)을 읽고.. [2] 然在 3484 2013.05.08 10:53
102 [이야기] 우리의 공부 관심사와 밀접한 연관를 갖는 토론글 두 가지 [2] 교컴지기 3479 2014.08.05 08:36
101 [느낌나누기]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동양 성리학의 절묘한 교차(cross over) [4+4] 별이빛나는밤 3474 2013.05.27 21:35
100 [토론] 수업 전문성의 재개념화 - 나는 어디에 서 있는가 [3+3] 동글이샘 3467 2014.10.05 19:49
99 모바일 [공지사항] 2016 두 번째 논문 <교사의 권위: 해석학적 정당화> 안내 [1] 然在 3464 2016.04.29 13:53
98 [느낌나누기] 지식과 교과를 읽고 [4] 미나아리 3432 2016.01.27 12:20
97 [느낌나누기]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아무도 의심하지 않 [1] moonbj 3422 2018.10.22 00:21
96 [토론] <학습자의 발달과 협력을 돕는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1+1] 然在 3417 2014.10.21 16:47
95 [참고자료] 이론과 실천, 멀고도 가까운 거리 [2] 교컴지기 3415 2014.01.29 16:16
94 [토론] 교사 전문성의 대안-교사의 경험은 전문적인가? [5] 히말라야시타 3408 2014.05.23 07:00
93 답글 [공지사항] RE:<교육학_이론과 실천> 학습모임을 시작합니다. [3+3] 별이빛나는밤 3394 2013.04.24 1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