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컴로고초기화면으로 header_kyocom
교컴메뉴
교컴소개 이용안내 소셜교컴 나눔마당 배움마당 자료마당 교과마당 초등마당 특수마당 글로벌교컴 온라인프로젝트학습 교컴 UCC
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컴 키우기 자발적 후원


:::: 교컴가족 로그인(0)

  • 주간 검색어
  • 현재 검색어
기간 : 현재기준

교컴 포토갤러리

수업방법 및 사례

[강의클리닉] 일방통행식 강의, 하품만 나요

함영기 | 2003.11.13 08:09 | 조회 1955 | 공감 0 | 비공감 0

[주간한국 2003-11-12 16:09:00]

송석호 한양대 교수(물리학과)는 자신의 강의가 평소 어느 교수 못지 않게학생들에게 멋진 감동을 불러일으킨다고 생각해 왔다. 강의 수준 역시 평균 이상은 될 것이라고 믿어 왔다. 그러나 아니었다. 지난 봄 학기 대한교육협의회가 한양대 물리학과를 대상으로 실시한 평가 작업을 통해 현실은나타났다. 학과장을 맡고 있던 송 교수가 ‘강의 클리닉’을 자청했던 것이다.

‘강의 클리닉’이란 교수의 강의를 비디오로 촬영 한 후, 교육 전문 컨설턴트가 전문 지식의 정도, 강의 기법, 강의 태도 등에서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그 약점에 대해 처방을 내려주는 강의 진단 서비스다. 클리닉을 받는데에는 특별한 준비가 필요 없다는 교수학습개발센터의 조언에 따라 평소대로 강의에 나섰던 게 실수였을까?강의실에 두 대의 카메라가 설치됐다. 한 카메라는 강의 시간 2시간 동안자신의 모습을 촬영했고 또 다른 카메라는 학생이 반응하는 모습을 녹화했다. 또 분석 전문 요원은 강의실 중간에 앉아서 송교수의 말과 태도를 단1초도 빠짐 없이 모니터링하는 등 강의 전체 분위기를 철저히 파헤쳤다.

얼마 후 비디오 테이프 1개와 두툼한 강의 분석 자료가 송 교수에게 배달됐다. 송 교수는 곧 바로 집에 가져 가서 식구들과 함께 TV앞에 앉아 비디오를 틀었다. 자신의 강의 모습을 보고 아들딸이 어떤 느낌이 들었는지 솔직한 말이 듣고 싶었던 것. 큰 아이는 아빠가 얼마나 강의를 잘하는 지 두고 보겠다고 작심을 한 듯 TV 가까이 앉아 강의를 보기 시작했다.

그런데 테이프를 튼 지 채 10분도 안돼 가족들이 하나 둘씩 자리를 뜨면서 수근거리기 시작했다. “지루하다. 누가 누구를 가르치는지 모르겠다”, “강의할 때도 평소에 말하듯 일방적이고 우물우물 거린다”, “강의 준비 좀 잘해라. 학생들의 인내력이 대단하다” 등등 최악의 반응이었다.

송 교수는 얼굴이 후끈 달아오르는 것을 참을 수 없었다. 마침내는 송 교수 스스로도 자신의 강의 모습을 30분 이상 봐 줄 수 없을 만큼 지루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강의할 때는 잠시 머뭇거린 것으로 느꼈는데 그 간격이지나치게 길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학생들에게 질문을 던져 놓고는 2초도 못 참고 스스로가 대답을 해 버리는 성급함은 인내력 제로의 상태였다. 강의 역시 토론 중심으로 학생들의관심과 참여를 북돋우는 게 아니라, 일방 통행식의 논리 전개와 지식 열거뿐이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깨닫게 됐다. ‘클리닉 비디오 감상 소감문’까지 송 교수가 쓴 데에는 사연이 있었던 것이다.


교수들 표현에 능하지만 대화는 취약

최근 한양대 교수학습개발센터는 2003년 1학기 동안 ‘강의 촬영 및 분석서비스’를 도입해 교수 11명의 강의 내용을 영역별로 분석했다. 그 결과, 교수들은 프리젠테이션(표현)에 능한 반면 커뮤니케이션(대화)에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화 중심의 토론식 수업 진행보다는 혼자서 일사천리로 ‘떠드는’ 일방통행식의 진행이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조사됐다. 토론은 없고 강좌만 있을 뿐이다. 요즘 학생들의 감성에 비춰 봤을 때는 참여가 없는 편이 차라리 당연하다는 게 센터측의 전언이었다.

센터에 따르면 11명의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3.59점이었으며, 3개 영역중 가장 우수한 영역은 프리젠테이션(3.79점), 가장 취약한 영역은 커뮤니케이션(3.29점)인 것으로 각각 조사됐다. 세부 분석 결과, ‘프리젠테이션’ 영역의 경우 언어ㆍ비언어적 표현은 우수한 평가를 받은 반면, 수업 중학생들의 동기를 유발하거나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는 기법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는 가장 중요한 지표인 ‘발문(發問:질문 유도)’과 ‘반응’에서 약점을 드러냈으며, 특히 토론의 분위기를 이끌어내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학생들의 이름을 불러 주거나 눈을 맞춰주는 등의 방식으로 친밀감을 형성해 질문과 대답을 자발적으로 유도하는 기능에서는 평균 이하인 것으로 평가됐다. 반면 새로운 개념을 기존 지식과 연관짓는 ‘학습촉진’기법은 우수한 편이었다. ‘수업설계’ 영역은 교수 역량이 다른 영역에비해 고른 것으로 평가됐다.

그 결과, 교수들은 3개 영 중 ‘커뮤니케이션’ 영역의 평가 점수가 최저에다 편차도 가장 큰 것으로 드러났다.
최고라는 교수 자의식도 토론수업 걸림돌

강단에서 토론식 수업이 안 되는 이유는 과연 무엇 때문일까. ‘참여정부’ 들어 토론 자체가 사회 대중문화의 주요 코드로 자리잡은 상황에서 유독 강단에는 왜 토론 문화가 시들한 것일까. 무엇보다 교수와 학생간의 세대차가 큰 것이 그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한 마디로 사제지간에 코드가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권위 의식이 강한 아날로그 교수와 민주적 성향의 디지털 학생, 둘 사이의사고 방식이 다를 수밖에 없어 대화 소통에 장애 가 초래된다는 분석이다.유영만 한양대 교수(교육공학과)는 “교수 대부분이 토론식 수업을 이끌지 못하는 것은 수년간 가르쳐 온 학과 내용에서만은 스스로 최고 권위를가진 전문가라는 인식이 최대의 걸림돌”이라며 “학생들의 동의나 반론등이 있을 수 없다는 자의식이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학생들 역시 이 같은 교수의 권위적인 위세에 눌려 강의 시간에토를 달 분위기가 아니다”며 “학생측으로 보자면 말을 꺼낼 틈을 주지않고 일사천리로 진행되는 강의에 그저 수긍할 수 밖에 없는 입장”이라고덧붙였다.

학생들에게도 문제점은 있다. 어떤 문제에 대해 보다 빠른 결론을 내리려는 인스턴트식 성향이 강해 교수가 물음과 답변을 동시에 던져주길 바라는기대심리가 강하다.

따라서 스스로 한 번 더 고민하려는 경향이 적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디지털 세대의 약점이 그대로 노정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여기에다빡빡하고 무리한 강의 일정 탓에 토론식 강의가 이뤄지기 어렵다는 실정도곁들여 진다. 하루 동안 나가야 하는 진도가 무리하게 잡혀 있다 보니 학생들에게 토론의 여유를 줬다가는 거기에 맞추기 어렵다는 변이다.


사제간 코드 맞추기, '재미'에 포인트

그러나 최근 신세대 교수 사이에서 일고 있는 강의 스타일은 크게 변화하고 있다. 강의 진행 분위기도 사뭇 달라지고 있다. 이들 교수사이에서는“N세대 학생들은 15초 간격으로 웃겨야 수업에 집중하고 강의 내용을 따라온다”는 말이 공공연할 정도다. 신세대 교수들의강의에서 ‘즐거움(fun)’이라는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일로의 추세다.특히 한 학기가 끝나고 다음 학기에 수강신청이 감소해 폐강하는 위기를맞지 않으려는 신경전이 치열한 강단에서는 학생들이 강의에서 느끼는 ‘재미(fun)’라는 요소가 어느 때 보다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아날로그 세대가 학문을 대해 취한 ‘진지한 작업(hard work)’의 개념은 빛을잃고, 디지털 세대가 선호하는 ‘재미’라는 개념이 그 자리를 채워가고있다.강의 첫 5분이 그 성패를 좌우한다는 것이 이들의 생각이다. 5분 안에 강의 전체를 한 마디로 요약하고 압축할 수 있는 상징물(메타포)을 어느 정도 효과적로 제시할 수 있는가의 문제가 이 시대 교수의 과제로 떠 오르기도 한다. 인문학 강좌를 진행해 가면서 마치 곤충을 해부해 나가는 듯 비유를 드는 모습 같은 것은 이전의 대학 강좌에서는 상상할 수 없었던 풍경이다.

학생들 사이에서는 교수가 과연 몇 개의 메타포를 활용할 수 있느냐에 유능 여부를 판가름 하는 풍경도 이제는 낯설지 않다. 교수들 역시 강의를통해 완성된 지식 ‘덩어리’를 던져 주기 보다는 채 여물기 전 상태의 지식을 제공해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자 한다. 논리의 빈 공간은 학생들이 채워 가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신세대 교수들은 더 이상 강단에 서서 혼자 ‘절대적 진리’만을 얘기하려하지 않는다. 그 보다는 전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토론을 통해 타인의 다양성을 공감할 수 있는 ‘상대적 사리(事理)’를 추구한다. 이들은입모아 말한다.“멍청한 선생은 말로만 떠들고 테스트만 한다. 훌륭한 선생은 설명할 줄안다.

수퍼 티처는 시범을 보여준다. 위대한 티처는 영감을 준다”고.

학생들이 가려워하는 부분을 적절하게 긁어주고, 강의 내용을 끊임없이 목말라 하도록 만드는 강의 기법을 개발하는 것은 이들에게 지워진 새로운임무인 셈이다.‘논쟁(debate)보다 대화(dialogue)’를 추구하는 N 세대식 커뮤니케이션법이 대학 캠퍼스 공간에 맞춰 운신의 묘를 발하고 있는 것이다. 이 건 서울시립대(사회학과) 교수는 “강의의 생산성을 높이고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방법은 대화기법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라며 “교수들 역시스스로 토론과 대화기법을 개발해 활용하면서 강의에 학생들의 자발적인참여의식을 높이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좋아요! 싫어요!
twitter facebook me2day
531개(11/27페이지) rss
수업방법 및 사례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사례] 좋은 수업 만들기 - 수업 기술 100選 첨부파일 [40] 함영기 108456 2006.05.30 10:58
공지 정기고사 출제 길잡이 첨부파일 [13] 함영기 101326 2006.09.26 21:04
공지 교사를 위한 Teaching Tips 61가지 사진 [17+4] 교컴지기 119019 2009.03.07 08:12
공지 [추천] 지식채널 연작 시리즈 및 활용 사례 첨부파일 [19+3] 교컴지기 111481 2009.10.06 10:38
327 [초등] 돼지풀잎벌레 한살이 과정 첫 규명 함영기 2167 2003.08.20 03:59
326 [과학] 들꽃아, 우리 친구하자 함영기 2046 2003.08.25 07:17
325 [체험학습] [현장학습] 들꽃 아는 만큼 활짝 함영기 2190 2003.08.25 07:18
324 [체험학습] [체험학습] 틀 벗어버리고 생생한 느낌 채우자 함영기 2398 2003.08.25 07:19
323 [인성교육] 희망의 교육현장을 찾아서 - 논산 대건중 함영기 2223 2003.09.01 07:28
322 [체험학습] [체험학습] 껍질로 나무 구별하기 첨부파일 함영기 2250 2003.09.01 07:34
321 [사례] 인천 남부초교 강승숙교사의 수업 첨부파일 함영기 2364 2003.09.08 07:52
320 [사례] 서울 도봉초교 강현정 교사의 인권교육 첨부파일 함영기 2362 2003.09.22 08:21
319 [대학] 사이버 교수학습센터 설립 붐 함영기 1842 2003.09.30 08:07
318 [환경] 안산 성안고의 바다 체험학습 함영기 2005 2003.10.06 07:18
317 [사례] 이성수교사의 매체를 활용한 국어수업 함영기 3332 2003.11.03 08:24
>> [강의클리닉] 일방통행식 강의, 하품만 나요 함영기 1956 2003.11.13 08:09
315 [평가] 국어는 실기과목, 필기는 안해요 함영기 2259 2003.11.24 07:52
314 [초3/사회] 살기좋은 우리 고장 수업하기 함영기 2504 2003.12.09 07:37
313 [한양대] 교육과정 학생들이 자율 설계 함영기 1751 2003.12.19 07:59
312 [노하우] 엄마·아빠가 가장 좋은 선생님 함영기 1772 2004.01.05 09:28
311 [해외]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틀을 깬다, 덴마크 함영기 2285 2004.02.09 07:30
310 [양성평등] 서울대도 ‘여성학’에 눈떴다 함영기 1778 2004.02.09 07:31
309 [자녀교육] 일하는 엄마의 중고생 자녀 교육 함영기 1875 2004.02.10 06:57
308 [해외] 기노쿠니학교는 일본의 서머힐? 함영기 2063 2004.03.08 0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