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컴로고초기화면으로 header_kyocom
교컴메뉴
교컴소개 이용안내 소셜교컴 나눔마당 배움마당 자료마당 교과마당 초등마당 특수마당 글로벌교컴 온라인프로젝트학습 교컴 UCC
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컴 키우기 자발적 후원


:::: 교컴가족 로그인(0)

  • 주간 검색어
  • 현재 검색어
  1. 갑사로 가는 길
  2. 시험감독
  3. bettyheeya
  4. 자유학기
  5. 대입 진학 상담 일지 양식
  6. 예시문
  7. 체육 특기사항
  8. 교무
기간 : 현재기준

교컴 포토갤러리

미술

테라코타 전각 만들기

정병우 | 2002.12.13 12:48 | 조회 9658 | 공감 0 | 비공감 0

테라코타 전각 새기기

◇ 준비물: 점토, 조각도, 신문지
◇ 소요시간 : 5시간 (전각까지)

1. 성형하기


흙을 반죽하여 인장의 모양을 만든다. 너무 크거나 작게 만들지 않도록 한다 너무 크면 인주를 바르기 힘들고 너무 작으면 글씨를 세기기가 어렵다. 모양은 흙이라는 재료의 특성을 고려해서 너무 얇거나 복잡한 모양이 되지 않도록 한다. 말리는 과정에서 부서지기 쉽다. 이때, 글씨를 새길 바닥 부분은 평평하게 고르도록 한다.

2. 말리기

그늘에서 서서히 말리도록 하고 .굽지 않은 흙은 부서지기 쉬우므로 관리에 신경쓰도록 한다.

3. 새기기

성형한 인장이 굳었으면 조작도로 세기기전에 인장 크기 만한 종이에 글씨를 디자인 할 수 잇도록 하고 그것을 뒤집어 인장 표면에 베켜 조각도로 세긴다. 흙은 부서지기 쉬우므로 너무 힘을 주거나 바닥에 떨어뜨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서체구상하기

서체본뜨기

새기기



4. 수정하기

인주에 찍어 보고 잘못된 부분은 수정한다.
인주를 찍을 때는 한번에 꽉누르지 않고 천천히 여러번 묻혀야 하며 화선지 밑에 신문지를 깔고 찍어야 잘 찍힌다. 수정작업은 세밀하게 조심해서 조각칼을 쓰도록 한다.

5. 찍기

6. 굽 기

완성된 인장을 가마에 굽는다 800-900도의 온도로 초벌구이 한다.
재벌구이까지 할려면 인주가 묻는 부분은 유약칠을 하지 않고 재벌구이를 하면 훌륭한 자기도장이 완성된다.

7. 완성

완성후에는 친구들이 서로 작품감상을 하도록 전시회를 가지면 더욱 좋다.

8. 수업을 마치고

2학기 첫수업으로 자신의 이름을 새기는 전각 수업을 하였다.
학창시절에 자신의 도장을 사용하는 일은 드물겠지만 그 시절에 이름이 갖는 의미는 대단히 크다고 본다.
태어나면서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주어지고 평생을 자신과 함께 살아가는 이름은 자신의 삶이며 모습이다.

자신의 이름을 좀더 사랑하고 이름석자에 책임을 지자는 이야기와 함께 시작한 전각 수업은 자신이 자신의 도장을 직접 만들고 세겨보는 색다른 재미가 있다.

참고자료

전각이란 무엇인가?

전각(篆刻)을 보통 낙관(落款)이라고 한다. 동양문화권, 특히 한자 문화권의 순수예술인 전각은 한자의 전서체(篆書體)를 인면(印面)에 조각하는 것이다. 전서체를 썼던 이유는 자형(字形)과 고유의 획(劃)이 갖는 조형성이 돌(石材)이라는 작은 공간에서 잘 어우러져 효과를 극대화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전서만을 쓰는 것은 아니고 예서(隸書)와 행서(行書),해서(楷書) 등 6서체(六書體)를 고루 쓰며 때로는 갑골문자 (甲骨文字)에서 보이는 상형문자(象形文字)를 새기는 경우와 동식물의 문양을 새겨 넣기도 한다.

전각(篆刻)의 도장은 서예작품과 동양화를 완성하였을 때 서화의 한 구석에 찍는다. 주로 작품을 완성 한 시기와 서명을 하기도 하며, 시구(詩句),작품을 만든장소,제작배경을 써 넣는다. 이렇게 전각한 도장을 찍는 과정을 "낙성관지(落成款之)"라 하며,줄여서 "낙관(落款)"또는 "낙관한다"고 이른다. 낙관을 했다는 말은 예술작품을 완성한 후 최종 완성를 말하며, 화룡점정(畵龍點睛)에 비유할 수 있다.추가로 작품 강상소감을 남기기도 하며, 아무개가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는 낙관을 하기도 한다.이와 관련하여 도장의 측면에 새긴 사람의 낙관을 하는데 이것을 "측관(側款)"이라고 한다.

전각(篆刻)의 재료로는 초기에는 금,은,동 등 딱딱한 금속재료를 쓰다가 중국의 명대(明代) 이후 석재의 은은하며,빼어난 빛깔과 모양의 영구보존성, 그리고 전각도(篆刻刀)로 새기기 쉬운 장점 때문에 돌(石材)이 주로 사용되었다. 옥, 상아, 나무, 대나무뿌리 등도 사용된다.

한편, 전각(篆刻)은 작품을 완성했다는 의미도 있지만 전각한 도장 그 자체가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여겨진다. 전각(篆刻)의 작품은 돌이라는 한정된 공간에 문자를 새김으로써 새로운 공간미를 창조하는 고도의 예술행위인 것이다.

전각의 종류

성명인(姓名印) : 성(姓)과 명(名)을 새기고 뒤에 인(印)이나 지인(之印),장(章),인장(印章),신(信)등을 붙였다. 성명인에는 백문(白文)을 사용하는것이 일반적이나 주문(朱文)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대체로 소전(小篆)을 글자체로 사용한다.

신윤복인

강석우인

자인(字印) : 호(號)나 자(字)를 새긴 것으로 인(印)자를 붙이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홍길동(洪吉童)의 자(字)가 백아(白鵝)라면 홍백아(洪白鵝)나 자백아(字白鵝)로 하거나 홍씨백아(洪氏白鵝),백아씨(白鵝氏)로 새긴다.

강씨백상

심전

다면인(多面印) : 주로 자인(字印)에서 쓰는데 여러 면에 새긴 것이다. 한면에 성명을 새기고,다른 면에 성(姓)과 자(字)를 새기거나,한 면에 성(姓)을 새기고 다른 면에 이름(名)을 새긴다. 또는 한 면에 성(姓)을 새기고 다른 면에는 길어(吉語)나 새,동물,벌레,물고기 등의 그림을 새긴다.

길상인(吉祥印)

※ 길어인(吉語印)과 성어인(成語印) : 상서로운 말을 새긴 길어인은 대리(大利)나 경사(慶事),대길(大吉) 등을 새겼는데, 근래의 좌우명 (座右銘)과도 같으며,멋진 시구(詩句)나 성인의 말씀 일부분을 새긴 성어인으로 발전하였다.

※ 압승인(壓勝印) : 상서로운 말을 새겨서 주문(呪文)으로 사용하는 도장이다. 주로 황신월장(黃神越章),용사피사(龍蛇避邪),황제월장(黃帝越章), 천황상제(天皇上帝) 등의 문구를 새겨 허리띠에 차고 다녔다.


유덕시보

※ 상형인(象形印) : 사물의 형상을 새긴 것으로 주로 용 ,봉황, 호랑이, 외뿔소,개,말,사람,물고기,새 등을 주로 백문에 새겼는데 한대(漢代)부터는 가운데에 성명을 새기고 사방(四方)에 사령(四靈),즉 기린,봉황, 거북이, 용의 그림을 새겨 신비로운 느낌이 난다.

※ 서압인(書押印) : 송대(宋代)에 와서 유행했는데 승낙한 증거로, 서명한 것이나 같았다. 원대(元代)에 와서는 몽골문자를 섞어서 새겼으며, 도장의 중앙에 직선을 넣어 둘로 나누어 나중에 맞춰보기 위하여 사용한 위조방지용 도장이다.

※ 서간인(書簡印) : 서신을 보낼 때 봉인을 위하여 근봉(謹封),호봉(護封) 등 을 새긴 도장이다.

※ 별호인(別號印) : 송대(宋代)에 와서 누구나 서재에 이름이나 별호를 붙였는데 이름의 연유나 고전에서의 출전을 <○○記>형식으로 썼다. 소순(蘇洵)의 노천산인(老泉山人), 소식(蘇軾)의 동파거사(東坡居士), 미패의 보진재(寶晋齋)가 있다.


완당



저와 같이 작은 모임을 갖고 있는
순천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윤석우 선생님의 학습자료를 정리해서 올립니다.
관련작품은 위 링크를 눌러보세요.
좋은 공간 주신 함영기 선생님 늘 감사합니다.
좋아요! 싫어요!
twitter facebook me2day
85개(5/5페이지)
미술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5 [미술] 제주 해녀군상 조각 첨부파일 황하선 7633 2003.02.18 00:25
4 [미술] 경북대 미술의 이해 시험문제 및 해설 함영기 8423 2002.12.24 10:00
3 [미술] 빛고을 만화작품(학생작품) 감상하세요. 정병우 7187 2002.12.18 15:51
2 [미술] [소개] 미술로 만나는 온라인 공간 정병우 6637 2002.12.13 13:05
>> [미술] 테라코타 전각 만들기 사진 정병우 9659 2002.12.13 1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