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컴로고초기화면으로 header_kyocom
교컴메뉴
교컴소개 이용안내 소셜교컴 나눔마당 배움마당 자료마당 교과마당 초등마당 특수마당 글로벌교컴 온라인프로젝트학습 교컴 UCC
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컴 키우기 자발적 후원


:::: 교컴가족 로그인(0)

  • 주간 검색어
  • 현재 검색어
  1. 읽기
기간 : 현재기준

교컴 포토갤러리

교컴지기 칼럼

[신간안내] 교사, 학습공동체에서 미래교육을 상상하다(함영기 지음)
교육의 주체가 그들의 언어로 미래교육을 상상하는 이야기


학생의 이름을 부르도록 한다는 법안 발의가 생각하지 못한 것

교컴지기 | 2013.09.17 09:45 | 조회 12801 | 공감 6 | 비공감 0

학생들에게 자동으로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는 NEIS는 어쩌고?학교에서 교사가 학생을 부를 때 이름 대신 번호를 부를 수 없도록 하는 법이 추진된다. 민주당 홍종학 의원은 15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초·중등교육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하였다. 교사가 학생을 부를 때 이름 대신 번호를 부르는 것은 '학생의 인격을 존중하는데 초점이 있기보다 교사의 편의에 치중한 면이 있다'는 것이 이 법안을 발의한 홍 의원의 말이다. 아울러 홍 의원은 선진국들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지 않거나, 부여하더라도 수업 시간에 이름을 대신해 번호를 사용하는 경우는 전무하다고 말한다.

 

  학생을 부를 때 번호를 부르는 것보다 이름을 사용하는 것은 학생으로 하여금 학교생활 혹은 수업시간에 존재감을 느끼게 해준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교사에게 자신의 이름이 호명되는 순간 수업에 참여하고 있다는 현실 자각과 자기정체성의 확인이 뒤따르기 때문이다. 요컨대 학교생활에서 이름이 불려지는 것은 가장 기초적인 존재 확인의 과정이다. 또 학생 입장에서 '선생님이 내 이름을 기억하고 있다'라고 느끼는 것은 교육적으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사실 이 같은 내용은 이미 오래 전부터 교사들 사이에서 회자되던 말이었으며, 그것의 교육적 효과를 알기 때문에 많은 교사들이 학생을 부를 때 될 수 있으면 번호가 아닌 이름을 부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런데 교사들에게 학생의 이름 부르기를 권장하는 것을 넘어 법으로 강제하겠다고 하면 상황이 달라진다. 취지가 좋다하여 법으로 정하게 되면 이름 부르기가 가진 긍정적 의미와 맥락은 사라지고 준법과 범법의 경계를 넘나드는 '절차적 행위'만 남게 될 것이다. 이번에 민주당의 홍종학 의원은 법안을 발의하기 전에 이 문제와 관련된 내용들을 좀 더 숙고했어야 했다. '이름 부르기 법안'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문제점을 안고 있기 때문에 법으로 제정되거나 제정되더라도 제 구실을 못할 것이라 생각한다.

 

  첫째, 현재 교육현장에는 학생들의 제반 사항을 디지털로 관리하는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이 운영되고 있다. 이 시스템이 처음 도입될 때 교사들은 학생들의 개인정보보호 및 정보유출의 우려를 들어 반대 했었지만, 당시 '전자정부'를 구현하고자 했던 국민의정부와 참여정부는 이를 강행했다. 그런데 이 시스템은 학생 개개인의 정보를 디지털로 저장해야 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한다. 홍 의원이 선진국에서는 부여하지 않는다는 고유식별번호를 NEIS에서는 부여한다는 말이다. 즉, 교사가 학생의 번호를 부르기 이전부터 이미 학생은 고유식별번호로 관리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초등학교에서 중고등학교를 거쳐 대학에 입학할 때까지 지속된다. 

  관리의 편의성을 위하여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고는, 교사들에게는 번호를 배제하고 이름만 부르라는 것은 아무래도 본말이 전도된 것이다. 정말로 학생들의 인권을 존중한다면 이렇게 학생 개개인의 정보를 디지털로 집적하는 것부터 없애야 할 일이다. 현재 이 시스템은 '차세대 나이스'라는 명칭으로 더욱 고도화되어 운영되고 있다. 
  

▲ NEIS 추진경과 1997년부터 추진되기 시작한 교육행정정보 시스템
ⓒ http://www.neis.go.kr


  둘째, 불가피하게 학생의 이름을 부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일주일에 한 학급에 대하여 한 시간 수업이 있는 교과의 교사가 주 20시간 수업을 한다고 하자. 한 반에 30명의 학생이 있다고 하면 대략 교사가 일주일 동안 만나는 학생들은 600명 정도가 된다. 이런 교사에게 600명의 이름을 일일이 외워 부르라는 얘기는 상식적으로 무리다. 또한 요즘은 학생들이 명찰을 달지 않거나, 달더라도 주머니 속에 넣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명찰을 쉽게 확인할 수도 없다. 아울러 명찰을 강제로 달게 하는 것은 인권침해의 소지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 교사가 이름을 외우고 부르기에 편치 않은 상황들이 있는 것이다. 법은 이 교사가 교육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아이들의 번호를 불렀다고 처벌할 수 있을까?

 

  셋째, 교실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법을 강제하겠다는 발상이 비교육적이다. 이 법은 준법과 불법의 경계가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교사가 교실에서 학생의 이름 대신 번호를 불렀다는 것을 어떻게 확인할 것인가? 학생들의 신고를 받을 것인가? 교사 스스로의 자백에 의존할 것인가? '권장 사항'정도의 위상이면 족할 내용을 법으로 강제한다는 것은 누가보아도 오버센스이다.

 

  학생에게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는 관행은 아주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대량교육의 도입과 맞물려 학생들을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돼 왔다. 단순히 '교사와 학생 간의 번호 부르기'로 치환할 수 없는 '관리대상으로서 학생'이라는 문화적 요인이 자리 잡고 있다. 학생들에게 번호를 부여한 것은 교사가 아니다. 이미 학생들의 번호는 NEIS에 의해 가나다순으로 자동 부여된다. 오랜 세월 편의적 목적으로 관리해 온 학생들의 번호 부여 관행이 가장 극단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바로 NEIS이다.

 

  홍 의원은 영화 <레미제라블>에서 자베르 경감이 장발장을 '24601'로 부르자"내 이름은 장발장이오"라고 짧게 답했다고 전하면서, 이는 죄수번호 24601로 산 그동안의 삶을 뛰어넘어 장발장 자신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단호한 외침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야말로 번호를 부여하는 주체와 시스템에 대한 성찰을 배제한 채 그 번호에 의해 관리되는 학생의 상황을 장발장의 죄수번호와 대등하게 비교하는 편의적 사고의 전형이다.

 

  결국 이 법안의 발의는 교사가 학생의 번호를 부르지 않는 것과 무관하게 이미 학생들의 고유식별번호에 기초하여 모든 정보와 이력을 축적하는 거대 시스템이 있다는 배경을 보지 않고 교사의 자세에만 초점을 둔 적절치 못한 것이다. 그러므로 홍 의원은 자신이 속한 당이 집권할 시기에 완성된 NEIS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좀 더 숙고한 후에 이 법안에 대한 고민을 했었어야 했다. 순서가 잘못되니 그나마 좋은 취지마저 퇴색하게 생겼다. 이는 전적으로 법안을 발의한 홍 의원의 소양 탓이다.  

교컴지기 

좋아요! 싫어요!
twitter facebook me2day
613개(2/21페이지) rss
교컴지기 칼럼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오마이뉴스 기사로 보는 교컴지기 칼럼 모음 사진 교컴지기 150632 2012.11.15 14:23
공지 교육희망 칼럼 모음 사진 교컴지기 146338 2013.05.09 23:21
공지 교컴지기 일곱 번째 단행본 '교육사유' 출간 사진 첨부파일 [18+16] 교컴지기 164237 2014.01.14 22:23
공지 [신간] 아이들은 한 명 한 명 빛나야 한다 사진 첨부파일 [1] 교컴지기 89691 2019.10.23 16:05
공지 [교컴지기 신간] 교사, 책을 들다 사진 [1] 교컴지기 62510 2021.06.26 14:17
공지 [교컴지기 새책] 교사, 학습공동체에서 미래교육을 상상하다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42573 2023.02.19 07:04
577 [교육정책] 학종강화 VS 정시확대라는 프레임 교컴지기 4741 2018.04.08 07:39
576 [교육방법] 학습자 중심 수업 - 아는 만큼 보인다? 함영기 6208 2003.11.11 11:02
575 [교사론] 학습공동체 담론의 함정 교컴지기 5228 2018.08.14 09:40
574 [교육사회] 학생지도, 개인적 자유와 민주적 시민성 사이 교컴지기 8711 2013.10.04 12:27
573 [학생일반] 학생인권조례, 이상과 현실 사이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7828 2010.07.09 18:41
>> [교육사회] 학생의 이름을 부르도록 한다는 법안 발의가 생각하지 못한 것 사진 [2+2] 교컴지기 12802 2013.09.17 09:45
571 [교육정책] 학생들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교육 공공성의 회복 교컴지기 6411 2012.10.22 09:22
570 [교수학습] 학생 참여 수업, 말뿐인 교실? 교컴지기 7661 2018.05.24 10:03
569 [교육정책] 학부모회에 예산 지원을 하려는 교과부의 의도 [1] 교컴지기 5621 2009.11.11 08:26
568 [교육철학] 학문적 세속주의 교컴지기 5609 2019.03.13 09:22
567 [교육철학] 학급의 의미를 다시 상상함 [2+1] 교컴지기 7428 2013.08.15 10:21
566 [교육사회] 학급의 의미를 다시 상상함 [1] 교컴지기 6225 2016.02.15 10:06
565 [학생일반] 학교폭력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교컴지기 8121 2013.02.03 07:11
564 [교육사회] 학교평가 - 성과주의가 관료주의를 만났을 때 [2+1] 교컴지기 8978 2013.07.15 10:50
563 [교육철학] 학교장의 철학과 전문성 교컴지기 11534 2020.01.20 12:08
562 [책이야기] 학교장의 마인드 vs 교사들의 열정 교컴지기 14487 2020.01.08 20:36
561 [학생일반] 학교에서 학생들의 휴대폰 사용,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교컴지기 5579 2017.12.18 13:46
560 [교육공간] 학교공간 혁신 사업, 적절한 속도 유지가 필요하다 교컴지기 7605 2019.04.23 09:49
559 [정치경제] 하야든 탄핵이든 가야할 길은 민주적 시스템의 복원 교컴지기 5358 2016.11.23 09:50
558 [교육공간] 핀란드의 고등학교, 그 놀라운 공간의 상상력 사진 [1] 교컴지기 11801 2013.02.09 14:50
557 [교육방법] 피어코칭(Peer Coaching)을 아십니까? 함영기 7342 2006.09.06 08:25
556 [사회문화] 프랑스 고교생들의 문학적 상상력 기르기, 르 공쿠르 데 리세앙 교컴지기 4802 2017.12.14 13:14
555 [교수학습] 표준화 신화와 평균의 종말 첨부파일 교컴지기 6713 2018.05.13 11:29
554 [이런저런] 폭주 교컴지기 6014 2019.05.17 13:17
553 [교육정책] 평범한 현장교사의 목소리에 집중하기 교컴지기 5172 2017.07.13 07:20
552 [교육정책] 평범한 현장교사가 진보교육감의 효과를 체감하게 하라 교컴지기 7778 2014.07.12 14:30
551 [책이야기] 평등(Equity) 개념을 드러내기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6424 2017.09.18 08:51
550 [사회문화] 페이스북은 왜 사용자의 연애 방식을 물을까?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4726 2017.12.07 13:15
549 [이런저런] 페이스북, 그 작동방식에 대한 쓸데 없는 고찰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5349 2019.05.17 13:09
548 [사회문화] 페이스북 이야기 교컴지기 5676 2013.03.21 1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