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컴로고초기화면으로 header_kyocom
교컴메뉴
교컴소개 이용안내 소셜교컴 나눔마당 배움마당 자료마당 교과마당 초등마당 특수마당 글로벌교컴 온라인프로젝트학습 교컴 UCC
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컴 키우기 자발적 후원


:::: 교컴가족 로그인(0)

  • 주간 검색어
  • 현재 검색어
  1. 십대를 위한 드라마 속 과학인문학 여행
  2. 무게
  3. 수학 9
  4. 우리 국토의 1
  5. 환경 79
  6. 국어 5단원
  7. 일기
  8. 예시문 4
  9. 가입 75
  10. 과학 13
기간 : ~

교컴 포토갤러리

교컴지기 칼럼

[신간안내] 교사, 학습공동체에서 미래교육을 상상하다(함영기 지음)
교육의 주체가 그들의 언어로 미래교육을 상상하는 이야기


인간의 모든 능력을 측정할 수 있을까?

교컴지기 | 2012.12.30 17:35 | 조회 6539 | 공감 0 | 비공감 0

인간의 모든 능력을 측정할 수 있을까?

한국 학생들의 평가 경쟁력을 다시 생각한다

12.12.30 14:56l최종 업데이트 12.12.30 14:56l

 

 
▲ PISA 2009 보고서 OECD는 PISA에서 나타난 각종 데이터를 정리하여 보고서로 발간한다
ⓒ PISA

관련사진보기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업 능력을 말할 때 자주 동원되는 근거는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이다. 이 평가는 OECD에 속한 국가의 만 15세에 해당하는 학생들에게 읽기·수학·과학 등의 분야에 대하여 3년 간격으로 평가한 후 그 결과를 공개한다. 각국은 이 평가 지표를 참고하여 교육정책을 수립하거나 교육과정을 편성한다. 말하자면 PISA는 세계 학생들의 표준적 발달 정도를 점검하는 것뿐만 아니라 각국의 교육정책 수립 과정까지 영향을 미치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평가 시스템이다.

2000년부터 시작된 PISA 결과를 보면 한국 학생들은 핀란드 학생들과 더불어 모든 영역에 대하여 최상위권을 기록했다. 이를 두고 한국 학생들의 학업 경쟁력이 높다고 분석하는 이도 있고, 학습 시간과 학습량으로 승부를 내는 한국 학생들의 암기주입식 시험 경쟁력이 드러났을 뿐이라고 분석하는 이도 있다. 한편 PISA는 평가 결과와 함께 몇 가지 부수적인 데이터도 공개하는데 그것은 바로 학습 효율성과 흥미도 및 자신감이다. 한국 학생들은 이 분야에서는 하위권을 맴돌고 있다. 말하자면 자신감과 흥미를 결여한 채 억지로 공부한 결과 세계 최상위권의 성적 결과를 유지하고 있다는 말이다.

평가 영역에 '협력적 문제해결 능력'을 포함하겠다는 PISA

▲ PISA 2009 읽기능력 국가별 순위 읽기능력에 대한 국가별 순위이다. 중국의 상하이는 국가가 아닌 도시 자격으로 참여하였다.
ⓒ PISA

관련사진보기


PISA는 2015년부터는 시험의 형태를 일부 바꾸어 학생들의 '과학적 문해 능력'을 테스트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겠다고 발표했다. 새롭게 추가하는 요소도 함께 제시하였는데 그것은 학생들이 그들의 생애를 통하여 공부하고 인식한 것을 바탕으로 하는 '협력적 문제해결 능력'이다. 평가는 컴퓨터 기반 테스트 형식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이렇게 되면 그동안 우리나라 학생들이 최상위권을 차지했던 지난 PISA 결과에 비추어, 이제부터는 높은 성취 결과를 보이기 힘들것이라는 시각이 있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특히 약한 것이 '협력적 문제해결 능력'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바뀌는 PISA 시험 형식에 맞추어 학생들에게 준비를 시켜야 한다는 성급한 제안도 내어 놓고 있다. 그렇지만 기자는 평가방식이 바뀌더라도 우리나라 학생들이 상위권을 벗어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예측한다.

이유는 모든 평가가 가진 한계 때문이다. 협력적 능력을 측정한다고 하더라도 평가 과정에서 공정하고 타당한 결과를 얻어내기 위한 기술적·합리적 장치들이 작동된다. 이 때문에 모든 종류의 시험에 적응성이 뛰어난 한국 학생들이 우수한 성취를 보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투입을 과도하게 팽창시키는 한국적 시험공부 방식이 국제적으로도 통하는 것인지 모른다. 

시험이라는 것은 그 특성상 인간이 내면에 축적해 온 모든 능력들을 밝혀내는 데는 한계가 있다. 특히 협력적 능력과 같은 질적 능력인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 평가의 기술이 아무리 정교하게 다듬어진다 하더라도 인간의 능력을 계량화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2인 1조로 짝을 이뤄 시험에 응하거나 문제의 구조화 혹은 고도화, 평가 시간의 연장 등 평가의 기법을 개선하더라도 인간의 내면적 능력까지를 측정할 수는 없다. 평가에서 협력하는 능력이 높게 측정됐다고 해서 그 학생이 현실에서 협력하는 능력이 뛰어난지는 제쳐두고라도 말이다. 

미래의 인간들에게 '협력적 문제해결 능력'이 필요하다는 당위의 강조와 '그것을 평가해보겠다'는 것은 전혀 다른 차원의 문제이다. 협력은 서툴지만 협력 기반의 평가에서는 우수한 성취를 보일 수 있다는 가정은 한국 학생들의 학습 방식이 얼마나 극심하게 왜곡돼 있는지를 보여준다.

소모적 학습 지양하고 전인적 발달 꾀해야

한국 학생들의 공부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은 OECD 국가군 중하위권을 맴돌고 있을 뿐 아니라 청소년 자살율 또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이 모든 현상들의 원인에 인간을 서열화할 수 있다는 평가의 논리가 도사리고 있다. 인간의 어떠한 능력도 잴 수 있다는 평가의 논리, 그 평가 결과를 위하여 적합한 방법을 준비할 수 있다는 논리는 바로 학생들의 행복감과 사진감 그리고 공부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리는 기제로 작용한다. 

학습시간과 양을 위주로 하는 한국 학생들의 공부방법을 보면서 안타까움을 느끼는 이유는 그들의 공부가 너무 소모적이라는 것 때문이다. 지식을 축적하는 것은 것은 단지 시험만을 준비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의 삶의 가치를 높이고, 타인과의 의미있는 교류를 통해 더 바람직한 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한 과정이다. 한마디로 공부를 하는 이유는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오로지 평가를 염두에 둔 공부는 그 과정이나 결과 모두 전인적 발달을 꾀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그렇다면, 망설일 이유가 있을까? 지금 한국 학생들에게 필요한 것은 평가 경쟁력이 아닌 공부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다. 학생들이 공부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갖는 쪽으로 제도, 문화, 교육과정을 바꾸는 것이 시급하다. 물론, 교사들 역시 학생들이 공부 결과보다 공부의 과정에서 즐거움과 자신감을 갖도록 수업의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 학생들이 공부에서 즐거움과 행복감을 느끼고 그로 인해 생활에 자신감이 붙는다면 자살율도 지금보다 훨씬 낮출 수 있다. 방법을 알면서도 시도하지 않는 것은 미래사회의 주역인 청소년들에 대한 존중이 아니다.
 
교컴지기
좋아요! 싫어요!
twitter facebook me2day
613개(9/21페이지) rss
교컴지기 칼럼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오마이뉴스 기사로 보는 교컴지기 칼럼 모음 사진 교컴지기 151374 2012.11.15 14:23
공지 교육희망 칼럼 모음 사진 교컴지기 147348 2013.05.09 23:21
공지 교컴지기 일곱 번째 단행본 '교육사유' 출간 사진 첨부파일 [18+16] 교컴지기 164929 2014.01.14 22:23
공지 [신간] 아이들은 한 명 한 명 빛나야 한다 사진 첨부파일 [1] 교컴지기 90597 2019.10.23 16:05
공지 [교컴지기 신간] 교사, 책을 들다 사진 [1] 교컴지기 63349 2021.06.26 14:17
공지 [교컴지기 새책] 교사, 학습공동체에서 미래교육을 상상하다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44177 2023.02.19 07:04
367 [교수학습] 표준화 신화와 평균의 종말 첨부파일 교컴지기 6758 2018.05.13 11:29
366 [교육정책] 교원학습공동체, 정책을 넘어 문화로 교컴지기 6746 2017.07.28 10:44
365 [교육정책] 선행학습, 슬픈 악순환 [1+1] 교컴지기 6744 2015.01.18 15:21
364 [교육과정] 교과서의 지위를 다시 생각함 [1+1] 교컴지기 6741 2014.01.19 19:29
363 [교육사회] 너의 목소리가 들려 [1+2] 교컴지기 6739 2014.01.28 09:52
362 [ 교컴지기 칼럼] 교컴 운영자의 칼럼 모음입니다. 함영기 6735 2003.04.22 09:42
361 [교사론] 오늘 P와 나 사이에 일어난 일 [6+7] 교컴지기 6730 2013.07.02 09:30
360 [교육철학] 현재 상태에서는 드러날 수 없는 실체에 대한 비전, 상상력 교컴지기 6726 2014.12.31 22:55
359 [교수학습] 고등학교의 몰아치기 수업은 대학입시가 원인? 교컴지기 6718 2015.07.07 10:38
358 [교육과정] 왜 교육과정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교컴지기 6706 2013.08.27 09:18
357 [교육사회] 누가 학교를 붕괴시키고 있는가에 대한 반론(99.11) 함영기 6685 2003.04.22 10:08
356 [사회문화] 네트워크와 욕망 교컴지기 6685 2014.10.19 08:02
355 [사회문화] 자녀의 성공을 위해 당신의 삶을 유보하지 말라 [2+1] 교컴지기 6675 2015.10.30 12:51
354 [교사론] 운동과 행정 사이, 교사와 전문직 사이 교컴지기 6646 2016.12.15 11:10
353 [교육철학] '어떤 것'에 집착할 것인가, '무엇인가'를 추구할 것인가? 교컴지기 6632 2013.09.26 14:37
352 [교육정책] 새물결 운동 유감(98.3) 함영기 6625 2003.04.22 09:52
351 [사회문화] 홍성담의 그림을 보고 무엇을 생각하는가? 교컴지기 6623 2012.11.26 13:26
350 [교사론] 교원정년 단축에 대한 짧은 생각(98.11) 함영기 6591 2003.04.22 09:58
349 [교원단체] 20년 짜리 상처를 치유하다 [1] 교컴지기 6587 2009.06.22 15:43
348 [교육사회] 공교육의 위기 혹은 해체에 대하여(98.9) 함영기 6586 2003.04.22 09:57
347 [ 교컴지기 칼럼] 정보화 교육의 허와 실(97. 8) 함영기 6580 2003.04.22 09:44
346 [정치경제] 현재 50대는 5년 전 50대와 다르다 교컴지기 6580 2012.11.01 08:30
345 [교육과정] 창의성 담론은 창의적인가? [2] 교컴지기 6574 2014.11.06 12:21
344 [사회문화] 진짜 복지에 대해 알려 주마 [4+1] 교컴지기 6569 2014.11.10 18:24
343 [교사론] 가르치는 자로 사는 방법, 평온한 인내 교컴지기 6564 2015.06.09 09:14
342 [교사론] 부끄러운 방학날 사진 교컴지기 6558 2014.07.21 18:40
>> [교육정책] 인간의 모든 능력을 측정할 수 있을까? 사진 교컴지기 6540 2012.12.30 17:35
340 [교육정책] 문용린 서울 교육감에게 건의함 교컴지기 6535 2013.07.27 15:39
339 [교사론] 이데올로기의 노예로 살지 않기 교컴지기 6529 2014.06.24 13:20
338 [교육사회] 정치로부터 독립된 교육을 상상함(3) 교컴지기 6520 2013.08.28 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