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컴로고초기화면으로 header_kyocom
교컴메뉴
교컴소개 이용안내 소셜교컴 나눔마당 배움마당 자료마당 교과마당 초등마당 특수마당 글로벌교컴 온라인프로젝트학습 교컴 UCC
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컴 키우기 자발적 후원


:::: 교컴가족 로그인(0)

  • 주간 검색어
  • 현재 검색어

교컴 포토갤러리

서울 중등특수교사 공부모임

문학동네 시인선100-리뷰

안녕달 | 2018.06.26 12:10 | 조회 2133 | 공감 0 | 비공감 0
저는 평소에 시를 읽지 않습니다. 아니, 좋아하지 않는다, 가 더 정확한 말일지도 모릅니다. 
그나마 좋아하는 시를 고르라면 아마 이런 시가 아닐까 합니다.
 
울 곳, 김환영
 
할머니 어디 가요?
 
-예배당 간다
 
근데 왜 울면서 가요?
 
-울려고 간다
 
왜 예배당 가서 울어요?
 
-울 데가 없다.
 


얼마나 짧습니까?
뭔가 찡하지만 이해하기도 쉽잖아요. ㅠㅠ
그런데 왜 시인들은 이렇게 안 쓰는겁니까....
 
제가 아마 시를 안 읽는, 아니 못 읽는 이유는
시인이 무슨 말을 하는 건지 아무리 짱구를 굴려 보아도 도통 이해가 안 가기 때문일 겁니다.

그래도 저 혼자 읽었다면 ‘이게 뭔 말이야’ 라고 당장 덮었을 것을....
선생님들과 함께 읽는다고 생각하니, 그럭저럭 용기를 냈던 것 같습니다.
(갓 등단한 시인부터 40년이 넘는 경력의 시인까지 무려 50명의 다른 결을 가진 시인들의 시와 산문이 실려 있었지만.......소용 없었습니다.....한때 여리여리했던 저의 감수성은 진즉에 썩어 있었습니다.....)
 
어제 우연히 김혜나 소설가가 쓴 글을 읽었습니다.
“많은 사람들로부터 ‘시’가 너무 어렵다거나 전혀 이해되지 않는다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친한 친구로부터는 ‘너는 진짜 저 내용이 이해되느냐?’라는 질문도 받아본 적이 있고요. 
사실은, 저도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해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시는 머리로 이해하는 게 아니라, 가슴으로 느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차가운 이성보다는 뜨거운 감성으로 ‘읽는’것이 아니라 ‘느끼는’ 것이죠. 마치 요가를 하듯이요. 
그렇게 시를 느끼다 보면 가슴이 뜨거워지기도 하고, 무언가 잔잔히 가라앉기도 하고, 눈물이 와락 올라오기도 하죠...
네, 그냥 그런거죠, 시는....”
 
이해하려고 애쓰기보다 느껴지는 몇 줄을 찾긴 했습니다.

전영관 시인의 ‘퇴근’이란 시. ‘길항’이란 산문의 한 줄
“직장이 없었다면 나는 시를 쓰지 못했을 것이다......직장이 있었기에 나는 그나마 시를 쓸 수 있었다.....카드 결제일에 부대끼는 호모머니쿠스인 것이다.”
 
주민현 시인의 ‘만약이라는 나라에서’
“회사 근처에 터미널이 있다. 종종 점심 시간에 밥을 먹고 난 뒤 그곳으로 산책을 갔다. 나의 소원은 사무실로 돌아가지 않고 여기서 제일 멀리 떠나는 버스를 타는 것이다.....”
 
서효인 시인의 ‘갈비를 떼어서 안녕’ 그리고 산문 ‘전장에서’의 한 구절
“다만 무엇이든 씀으로써 별 생각 없이 미끄러지는 일상에 불편한 감각 몇이 돋아나길.”
 
기사를 봤는데 시인들의 연평균 소득이 542만원이라고 하네요. 그래서 많은 시인이 직업을 가지고 시를 쓴다고... 
시인이나 저나 먹고 사는데 있어 자유로울 수 없는 건 똑같은데 시인은 어떻게 “무엇이든 씀으로써 일상에서 불편한 감각 몇”을 찾는 걸까요?
 
예술만 열심히 하는 사람이나, 일상에서 일만 열심히 하는 사람 보다 그 둘의 경계를 유유히 넘나드는 사람을 존경하게 되었습니다. ^^ㄱ그런 의미에서 제가 존경하는 어떤 분의 공연을 관람하며 찍은 사진이 떠올라 여기 올릴게요.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를 키우면서, 강사로 일하면서 퍽퍽한 일상에 굴하지 않고 항상 무언가를 창조하는 분의 삶이..
마치 시(詩)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의 일상도 월세 내랴, 각종 OO 역할에 맞춰 사느라 비루하지만 그래도 조금은 시인의 눈으로 살겠다고, 가끔은 또라이(?)같이 살겠노라고 다짐해 봅니다.
 



좋아요! 싫어요!
twitter facebook me2day
158개(4/8페이지) rss
서울 중등특수교사 공부모임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98 [토론] 문학동네 시인선 100 - 리뷰 사진 첨부파일 [4+5] 김혜중 2236 2018.06.20 16:11
97 [토론] 특수교사 교육을 말하다. - 특수교사 교육을 생각하다 - 김혜중 3660 2018.11.22 16:41
96 모바일 [토론] 학급긍정훈육법 리뷰 [3] 김혜중 5372 2019.05.22 12:34
95 [토론] 알베르 카뮈_페스트_리뷰 김혜중 4104 2020.07.02 15:59
94 [토론] 교육사유를 읽고 행복한 교사가 올리는 글. 사진 [2] 내려놓기 2117 2014.06.20 17:47
93 [기타]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를 읽고 [2] 눈부신 2367 2014.03.28 12:48
92 답글 [토론] 수업전문성이란 [2] 눈부신 1993 2014.09.22 13:15
91 [토론] [느낌나누기] 교육의 근본 : 그 말살과 회복 [2] 눈부신 2142 2014.10.21 13:08
90 [토론] 남자들은 자꾸 나를~짤막 후기 [1] 레지나 2202 2018.05.02 13:11
89 답글 [토론] 설명해 주실분~~~ [1] 비아1 2042 2014.09.23 00:40
88 [참고자료] 참고자료- 독일 공립 대안학교 첨부파일 [1] 비아1 3372 2015.04.29 13:40
87 [참고자료] 2015 특수교육과정 총론 공개토론회 자료집 첨부파일 [1] 비아1 2739 2015.08.31 14:42
86 모바일 [토론] 3월 공부 [3] 비아1 2248 2018.03.28 21:38
85 [토론] 프로젝트 학습 리뷰 [2] 슬찡 2347 2018.03.26 23:49
84 [토론] 늦었지만 남깁니다. MANSPLAIN 슬찡 2332 2018.05.30 10:42
83 [토론] 프로젝트 학습 리뷰 [3] 안녕달 2339 2018.03.25 22:05
82 [토론] 리뷰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사진 첨부파일 [1] 안녕달 2333 2018.05.02 14:07
>> [토론] 문학동네 시인선100-리뷰 사진 첨부파일 [4] 안녕달 2134 2018.06.26 12:10
80 [토론] (리뷰) 12월! [1] 안녕달 4739 2018.12.19 17:41
79 [토론] 지각 교육사유를 읽은 후 [3] 우리4 2494 2014.06.25 1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