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는 교컴
'대학에 가는 AI vs 교과서를 못 읽는 아이들'을 읽고
미래사회 관련 강의를 들을때마다 다가올 미래에 AI의 능력이 인간을 넘어설 것이라는 이야기를 빠지지 않고 듣는다. 연일 쏟아져 나오는 기사와 책 역시 비슷한 내용이라 미래시대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었는데, 이번에 듣게 된 강의는 그 불안감을 더 크게 만들었다. 0.003%를 제외한 인간이 단순 노동자 계급으로 분리되어 AI에게 일자리를 빼앗긴 상태로 살아가야 한다는 이야기는 매우 충격적이었으며, 연구팀의 예측이라 그냥 간과하기도 어려웠다. 이런 불안한 미래사회에서 살아가야 할 아이들은 무슨 준비를 해야 하는 것일까? 과연 준비가 가능한 것일까? 미래를 대비한 교육에 대한 고민이 커진 시기에 읽게 된 책이 바로 '대학에 가는 AI vs 교과서를 못 읽는 아이들'이다. 사실 처음 제목을 보고는 미래가 더욱 암울하다고 생각했는데, 1장을 읽으면서부터 막연했던 AI에 대한 불안감이 사라지고 있음을 느꼈다. 이 책의 저자인 노리코 교수는 AI가 지능을 가진 컴퓨터라고 명확하게 정리하면서 인간의 지능을 수학적으로 해명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하였다. 노리코 교수의 이야기에 안심이 되어 그 후부터는 흥미를 가지고 이 책을 읽은 것 같다. 2011년 일본에서 시작된 프로젝트에서 로봇이 도쿄 대학에 들어간 것을 실패하기는 했지만 유명 사립대에 무난하게 합격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현재 우리 아이들이 처한 현실에 대한 생각거리를 던져주고 있다. 이 책의 3장에서 아이들의 교육 현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일본의 사례였지만 우리나라 역시 비슷한 상황이라 공감이 되었다. 특히 이 책을 관통하고 있는 독해력 부분은 매우 흥미를 가진 부분이다. PISA에서 상위권에 드는 국가인 일본 학생들이 고도의 독해력을 지니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 AI와 비교하였을 때 80%의 학생들이 독해력이 떨어진다는 사실은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 사람으로서 부끄럽기도 하고 충격적이기도 했다. 게다가 책을 읽으면서 내가 생각한 원인조차 독해력 저하와 상관관계가 없다는 내용은 처음 1장에서 안심했던 나에게 다시 한번 경각심을 갖게 해 주었다. 결론적으로 이야기하면 이 책에서 고도의 독해력을 위한 명확한 해답을 내려주고 있지는 않다. 그렇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미래 교육의 방향성은 찾을 수 있었다. 이제 인간 고유의 ‘독해력’, ‘유연성’, ‘판단력’을 갖춘 아이들을 길러내기 위해 나와 많은 어른들이 함께 고민하고 방법을 찾아봐야 할 때인 것 같다. 교육 관련 종사자뿐만 아니라 미래 AI시대를 살아가야 할 모든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아이들의 미래에 대한 방법을 고민하고 해결해 나갔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 |
새책, 지훈이의 캔버스
![]() |
교컴지기 | 3206 | 2025.07.06 10:11 |
![]() |
[공지] 출판사에서 직접 책 소개(홍보)하는 것을 금합니다. | 교컴지기 | 242626 | 2014.10.21 11:04 |
1632 |
![]() ![]() ![]() |
parksem | 1851 | 2025.02.01 11:48 |
1631 | [도서추천] [만화] 익명의 독서 중독자들 1,2 | 然在 | 3219 | 2024.08.09 11:17 |
1630 |
[독서이벤트] [서평 이벤트] 책 읽은 교실 어떻게 할까
![]() |
교컴지기 | 5327 | 2024.07.02 10:23 |
1629 |
[독서이벤트] [서평 안내] 보리 속담 사전 독서 체험단 모집
![]() |
교컴지기 | 16520 | 2024.05.31 11:19 |
1628 |
![]() |
유기농희쌤 | 4756 | 2024.05.21 19:35 |
1627 |
[독서이벤트] 야누시 코르차크, 아이들을 편한 길이 아닌 아름다운 길로 이끌기를
![]() |
교컴지기 | 79768 | 2023.10.07 11:59 |
1626 |
[독서이벤트] 서른 세 번째 독서이벤트 [협력적 수업 설계 가이드]
![]() ![]() |
별샘 | 70816 | 2022.10.18 16:47 |
1625 | [독서후기] 예술, 교육에 스며들다 를 읽고 | 밤길쟁이 | 22156 | 2022.04.16 06:19 |
1624 |
![]() |
푸른밤 | 22320 | 2022.03.21 21:12 |
1623 |
![]() |
그린핑거 | 17985 | 2022.01.14 18:27 |
1622 | [독서후기] <교사의 서재>를 읽고 | 나즈니 | 17219 | 2022.01.13 13:20 |
1621 | [독서후기] 예술, 교육에 스며들다 - 오랜만에 설레이는 책을 읽었습니다. | 당그니당당 | 16974 | 2022.01.12 23:54 |
1620 |
[독서이벤트] 서른두 번째 서평 이벤트[알파 세대가 학교에 온다]
![]() ![]() |
然在 | 93733 | 2021.12.29 13:32 |
1619 |
[독서이벤트] 서른한 번째 서평 이벤트[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 ![]() |
然在 | 93679 | 2021.12.29 13:23 |
1618 |
[독서이벤트] 서른 번째 서평 이벤트[청소년을 위한 행동경제학 에세이] (마감)
![]() |
然在 | 41726 | 2021.12.29 12:25 |
1617 |
[독서이벤트] 스물아홉 번째 서평 이벤트[여섯 밤의 애도]
![]() ![]() |
然在 | 88722 | 2021.12.29 09:10 |
1616 |
[독서이벤트] 스물 여덟 번째 서평 이벤트 [교사, 평가에 질문하다]
![]() |
별샘 | 53605 | 2021.12.28 09:13 |
1615 | [독서후기] 교실생존비법 독서이벤트 후기 | 샘15 | 30067 | 2021.12.26 08:24 |
1614 |
![]() |
그린핑거 | 28174 | 2021.12.22 22:25 |
1613 | [독서후기] 예술, 교육에 스며들다를 읽고 | 굿굿티처 | 24240 | 2021.12.19 21: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