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컴로고초기화면으로 header_kyocom
교컴메뉴
교컴소개 이용안내 소셜교컴 나눔마당 배움마당 자료마당 교과마당 초등마당 특수마당 글로벌교컴 온라인프로젝트학습 교컴 UCC
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컴 키우기 자발적 후원


:::: 교컴가족 로그인(0)

  • 주간 검색어
  • 현재 검색어
  1. 초등
  2. 예시문만들기
  3. 동아리활동
  4. 어린이 독후감
  5. 중등
  6. 교과별 예시문
  7. 대회
  8. 점수자동생성기
  9. 이수인정
기간 : 현재기준

교컴 포토갤러리

교컴지기 칼럼

[신간안내] 교사, 학습공동체에서 미래교육을 상상하다(함영기 지음)
교육의 주체가 그들의 언어로 미래교육을 상상하는 이야기


하야든 탄핵이든 가야할 길은 민주적 시스템의 복원

교컴지기 | 2016.11.23 09:50 | 조회 5425 | 공감 2 | 비공감 0

혹시 그 분이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을 때 청와대에 들어가면서 '오랜 세월 빼앗겼던 내 집'을 찾아 들어가는 기분을 느꼈던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본다. 그렇게 생각하는 근거는, 이 분은 그의 부모와 더불어 장기간 그곳에 살면서 '이곳이 내집'이라고 생각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곳은 무엇이든 말만하면 통했던 공간이었다. 그의 세계관은 그곳에서 형성됐다.

그가 본 최고권력자의 모습은 어렸을 때 본 박정희의 모습이었다. 마음만 먹으면 무엇이든 가능했던 권력자의 모습, 곧 그것이 대통령의 모습이었다. 그것을 너무 오랫동안 보면서 각인되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자신 최고 권력자의 자리에 올라섰을 때 의무감을 가지고 해야 했던 것은 다시 아버지를 재현해 내는 일이 아니었을까?

그래서 지금 그의 모습을 결정하는 두 가지, 하나는 최고권력자는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자리라고 생각하는 천박한 민주적 소양, 다른 하나는 공적 지위의 사유화이다. 즉 "내 집에서 내 마음대로 하겠다는 데 누가 감히 건드리는가?"와 같은 심리가 매우 강하게 형성돼 있다.

그렇다면 대통령으로서 공적 지위를 남용했다는 법리 해석에 앞서 아예 공사구분 능력이 없었을 가능성이 있다. 하야를 외치는 시민들에게 비극은 이야기를 들어야 할 당사자가 '합리적 소통' 능력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최고 지도자로서 공적 지위의 남용과 공사구분 능력의 결여가 많은 사람들을 불행하게 만들 수 있다는 지극히 상식적 판단마저도 그에게는 무리였던 것일까?

더 큰 문제는 이러한 사정을 알면서 그것을 적극 활용한 부역자들의 존재이다. 상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그 상태에서 국가의 최고지도자를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했어야 하는데, 오히려 그러한 약점을 적극 활용하여 호가호위의 발판으로 삼았다. 국가의 시스템을 쑥대밭으로 만들어 놓고도 자기 합리화의 늪에 빠져 되도 않는 논리로 연명하려는 자들의 모습은 참으로 딱하다.

하야든, 탄핵이든 그 귀결점은 민주적 시스템의 복원이다. 그러므로 당사자 뿐만 아니라 공적 시스템이 작동 불능 상태에 이르게 한 자들을 만천하에 드러내고 단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원칙을 정하고 정치인은 정치인이 해야 할 절차를 착실하게 이행하고 시민은 시민이 해야 할 정당한 요구를 해야 한다.

좋아요! 싫어요!
twitter facebook me2day
613개(2/21페이지) rss
교컴지기 칼럼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오마이뉴스 기사로 보는 교컴지기 칼럼 모음 사진 교컴지기 152434 2012.11.15 14:23
공지 교육희망 칼럼 모음 사진 교컴지기 148675 2013.05.09 23:21
공지 교컴지기 일곱 번째 단행본 '교육사유' 출간 사진 첨부파일 [18+16] 교컴지기 165903 2014.01.14 22:23
공지 [신간] 아이들은 한 명 한 명 빛나야 한다 사진 첨부파일 [1] 교컴지기 91925 2019.10.23 16:05
공지 [교컴지기 신간] 교사, 책을 들다 사진 [1] 교컴지기 64484 2021.06.26 14:17
공지 [교컴지기 새책] 교사, 학습공동체에서 미래교육을 상상하다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45988 2023.02.19 07:04
577 [교육정책] 학종강화 VS 정시확대라는 프레임 교컴지기 4857 2018.04.08 07:39
576 [교육방법] 학습자 중심 수업 - 아는 만큼 보인다? 함영기 6306 2003.11.11 11:02
575 [교사론] 학습공동체 담론의 함정 교컴지기 5319 2018.08.14 09:40
574 [교육사회] 학생지도, 개인적 자유와 민주적 시민성 사이 교컴지기 8779 2013.10.04 12:27
573 [학생일반] 학생인권조례, 이상과 현실 사이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7895 2010.07.09 18:41
572 [교육사회] 학생의 이름을 부르도록 한다는 법안 발의가 생각하지 못한 것 사진 [2+2] 교컴지기 12892 2013.09.17 09:45
571 [교육정책] 학생들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교육 공공성의 회복 교컴지기 6471 2012.10.22 09:22
570 [교수학습] 학생 참여 수업, 말뿐인 교실? 교컴지기 7782 2018.05.24 10:03
569 [교육정책] 학부모회에 예산 지원을 하려는 교과부의 의도 [1] 교컴지기 5676 2009.11.11 08:26
568 [교육철학] 학문적 세속주의 교컴지기 5788 2019.03.13 09:22
567 [교육철학] 학급의 의미를 다시 상상함 [2+1] 교컴지기 7491 2013.08.15 10:21
566 [교육사회] 학급의 의미를 다시 상상함 [1] 교컴지기 6299 2016.02.15 10:06
565 [학생일반] 학교폭력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교컴지기 8195 2013.02.03 07:11
564 [교육사회] 학교평가 - 성과주의가 관료주의를 만났을 때 [2+1] 교컴지기 9042 2013.07.15 10:50
563 [교육철학] 학교장의 철학과 전문성 교컴지기 11865 2020.01.20 12:08
562 [책이야기] 학교장의 마인드 vs 교사들의 열정 교컴지기 14865 2020.01.08 20:36
561 [학생일반] 학교에서 학생들의 휴대폰 사용,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교컴지기 5665 2017.12.18 13:46
560 [교육공간] 학교공간 혁신 사업, 적절한 속도 유지가 필요하다 교컴지기 7748 2019.04.23 09:49
>> [정치경제] 하야든 탄핵이든 가야할 길은 민주적 시스템의 복원 교컴지기 5426 2016.11.23 09:50
558 [교육공간] 핀란드의 고등학교, 그 놀라운 공간의 상상력 사진 [1] 교컴지기 11897 2013.02.09 14:50
557 [교육방법] 피어코칭(Peer Coaching)을 아십니까? 함영기 7499 2006.09.06 08:25
556 [사회문화] 프랑스 고교생들의 문학적 상상력 기르기, 르 공쿠르 데 리세앙 교컴지기 4877 2017.12.14 13:14
555 [교수학습] 표준화 신화와 평균의 종말 첨부파일 교컴지기 6822 2018.05.13 11:29
554 [이런저런] 폭주 교컴지기 6135 2019.05.17 13:17
553 [교육정책] 평범한 현장교사의 목소리에 집중하기 교컴지기 5251 2017.07.13 07:20
552 [교육정책] 평범한 현장교사가 진보교육감의 효과를 체감하게 하라 교컴지기 7891 2014.07.12 14:30
551 [책이야기] 평등(Equity) 개념을 드러내기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6498 2017.09.18 08:51
550 [사회문화] 페이스북은 왜 사용자의 연애 방식을 물을까?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4809 2017.12.07 13:15
549 [이런저런] 페이스북, 그 작동방식에 대한 쓸데 없는 고찰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5496 2019.05.17 13:09
548 [사회문화] 페이스북 이야기 교컴지기 5724 2013.03.21 1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