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컴로고초기화면으로 header_kyocom
교컴메뉴
교컴소개 이용안내 소셜교컴 나눔마당 배움마당 자료마당 교과마당 초등마당 특수마당 글로벌교컴 온라인프로젝트학습 교컴 UCC
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컴 키우기 자발적 후원


:::: 교컴가족 로그인(0)

  • 주간 검색어
  • 현재 검색어
  1. 초등
  2. 예시문만들기
  3. 동아리활동
  4. 어린이 독후감
  5. 중등
  6. 교과별 예시문
  7. 대회
  8. 점수자동생성기
  9. 이수인정
기간 : 현재기준

교컴 포토갤러리

교컴지기 칼럼

[신간안내] 교사, 학습공동체에서 미래교육을 상상하다(함영기 지음)
교육의 주체가 그들의 언어로 미래교육을 상상하는 이야기


교사들의 아비투스

교컴지기 | 2013.12.03 09:41 | 조회 8321 | 공감 3 | 비공감 0
교실 출입문에 자빠져 가로 누워있는 대걸레에 많은 아이들이 걸려 넘어진다. 욕을 내지르면서도 누구 하나 치울 생각은 하지 않는다. 때로 교사도 여기에 걸려 넘어진다. 이 같은 사태는 아이들의 무료를 깰 흥미로운 볼 거리 이상 아무 것도 아니다. 

만약 교사가 "이거 왜 안 치우니?" 라고 묻는다면, "그것 제 담당 아닌데요.", "제가 안 그랬는데요." 등의 답을 들을 것이 뻔하다. 그러므로 묻고 상처받느니 그냥 교사가 집어 들어 정돈하는 것이 빠르다. 실제 많은 교실의 상황은 그러하다. 그것 외에 이 사태를 두고 아이들의 책임을 묻는 것, 교육적 의미를 설명하는 것 모두 무의미하다. 난 이것이 오늘날 교실에 만연된 '일인 일역'에서 비롯된다고 본다. '자기 일이 아니면 움직이지 않는 것이 룰'이 되어 버린, 철저하게 개별화된 아이들의 삶 속에 교육이 파고들기가 참으로 힘겹다.

교실에서 해야 할 일 한 가지에 대하여 한 사람씩 대응시켜 책임을 맡긴다는 일인 일역은 교사들이 피해가기 힘든 유혹이다. 그것이라도 없다면 난장판이 될 교실을 그나마 차선으로 유지해 주기 때문이다. 공동체의 합의된 약속, 공동의 책무, 타인에 대한 배려, 즉 '민주적 시민성'은 이미 교실에서 사라진지 오래다.

그런데, 조금 더 깊이 생각해 보자. 교실에 만연된 일인 일역은 무엇을 닮았는가? 멀리서 찾을 필요가 없다. 학교의 모든 업무가 세분화되어 교사들에게 맡겨지는 '업무분장'을 쏙 빼닮았다. 학교의 업무분장은 질높은 수업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도 아니요, 아이들의 인성을 함양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체제는 더욱 아니다. 그것은 공교육 체계의 말단에서 행정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관리와 통제를 병행하기 위해 교사들에게 개별적 책무를 부과하고 책임을 묻기 위한 관료 체제의 전형적 형태이다. 

무섭지 아니한가? 교사들의 '아비투스(habitus)'는 부지불식 간에 자신이 속한 집단의 습속을 그대로 아이들에게 대물림한다. 아이들의 전인적 발달과 전혀 상관없는 소모적 행정업무에 내몰리는 것에 대하여 좌절하면서도, 저항하지 못하고 아이들에게 투사하기, 오늘날 학교 생태계의 모습이다.

더 나아가 기법 위주의 협동학습을 보자. 여기서 행해지는 '역할분담'은 무임승차를 방지한다는 명목 아래 모둠에 속한 구성원 모두에게 되도록 '공평하게' 역할을 부여한다. 이 과정을 보면 결국 나의 책무를 다 해야 우리 모둠의 성취를 방해하지 않는다는 동기에서 나왔다. 

교무실의 업무분장도, 교실에서 하는 일인 일역도, 기능적 협동학습에서 즐겨 쓰는 역할분담도 모두 그 뿌리는 비슷하다. 집단내 개인에게 부여되는 명확한 역할을 통해 무엇이 잘못됐을 때, 잘못의 원인을 정확하게 드러내고 문책할 수 있다는 관료제의 핵심 기능, 바로 그것이다. 

이것에 오래 길들여진 교사는 '공정한 업무분장'이라는 이데올로기에 쉽게 동화되어 어떻게 하면 업무를 공정하게 나눌 것인가에 과몰입한다. 오늘날 학교 인사위의 모습을 보면 이것에서 한치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이 업무가 아이들의 바람직한 성장을 위해 정말 필요한가, 그렇지 않은가에 대한 성찰적 물음은 제쳐두고 그저 공정하게 나누어 불만없이 업무를 수행하는 것에 의미를 두는 것에서 학급에서 행해지는 일인일역이나 기능적 협동학습에서 별 문제의식 없이 도입되는 역할분담 같은 것이 나온다. 

모든 새로움은 기존의 질서를 배리(paralogy)하는 것으로 부터 시작된다. 교사의 역할이 중요한 것은 질서의 수호자여서가 아닌 '해체를 통한 재구성'으로 나아가는 창조의 주역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요즘 꽤 거론되는 교육과정 재구성은 어떤가? 기존의 교육과정에 대한 해체없이 재구성이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그것은 재구성이 아닌 '기존 교육과정의 주석'에 불과할 뿐이다. 아무런 고민없이 공정함이라는 신화에 매몰되어 일인일역, 무임승차를 방지한다는 명목으로 기계적 역할분담을 남발하지 않았으면 한다. 

우리가 꿈꾸었던 '민주적 시민성'은 자기 일이 아니면 절대로 간섭하지 않고, 개인적 책무만을 명확히 하면 저절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이것이야말로 나와 타자간에 지식과 지식의 섞임, 행위와 행위의 섞임 속에서 한 걸음씩 연속적으로 재구성되는 경험, 바로 그것이다.


교컴지기
좋아요! 싫어요!
twitter facebook me2day
613개(3/21페이지) rss
교컴지기 칼럼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오마이뉴스 기사로 보는 교컴지기 칼럼 모음 사진 교컴지기 152431 2012.11.15 14:23
공지 교육희망 칼럼 모음 사진 교컴지기 148671 2013.05.09 23:21
공지 교컴지기 일곱 번째 단행본 '교육사유' 출간 사진 첨부파일 [18+16] 교컴지기 165896 2014.01.14 22:23
공지 [신간] 아이들은 한 명 한 명 빛나야 한다 사진 첨부파일 [1] 교컴지기 91917 2019.10.23 16:05
공지 [교컴지기 신간] 교사, 책을 들다 사진 [1] 교컴지기 64476 2021.06.26 14:17
공지 [교컴지기 새책] 교사, 학습공동체에서 미래교육을 상상하다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45979 2023.02.19 07:04
547 [교사론] 초등과 중등에서 수업전문성은 어떻게 개념화될까? [3+1] 교컴지기 9817 2013.04.15 13:18
546 [교육정책] [긴급 분석] 진보교육의 대약진, 전망과 과제 사진 첨부파일 [1+1] 교컴지기 9731 2014.06.05 10:47
545 [교육정책] 1수업 2교사제, 협력교사제 교컴지기 9672 2017.08.07 14:02
544 [교육정책] 교육전문직 역량 기준 제안 교컴지기 9672 2018.03.15 08:48
543 [교육정책] 혁신학교의 질적 성장을 기대함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9658 2013.12.09 11:42
542 [교육정책] 창의적 민주시민을 기르는 혁신미래교육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9543 2019.02.19 10:05
541 [교사론] 교사-학생간 관계형성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고찰 [2+2] 교컴지기 9509 2013.12.05 12:24
540 [교사론] 교사, 어떤 마음으로 새학년을 맞을 것인가? 교컴지기 9354 2015.02.22 15:28
539 [교육과정] 혁신의 전제, 교육과정에 관심 갖기 교컴지기 9325 2014.11.16 18:57
538 [교육사회] 해체와 재구성을 통한 일상적 이해 뒤엎기 [3] 교컴지기 9308 2014.01.18 08:29
537 [교육과정] 인성교육을 넘어 시민성교육으로 [2] 교컴지기 9282 2014.12.16 08:34
536 [교육과정] 인성교육, 민주시민교육, 세계시민교육, 그리고 역사교과서 국정화 [1+1] 교컴지기 9279 2015.10.24 15:33
535 [교수학습] 대학 강의와 상대평가 교컴지기 9135 2014.11.16 18:28
534 [교육사회] 학교평가 - 성과주의가 관료주의를 만났을 때 [2+1] 교컴지기 9042 2013.07.15 10:50
533 [교육정책] 거점학교 운영은 일반고 두 번 죽이는 정책 교컴지기 8969 2013.08.29 09:50
532 [교수학습] '배움의 공동체' 넘어서기(1) 교컴지기 8943 2014.07.28 15:16
531 [교수학습] '배움의 공동체' 넘어서기(2) [1] 교컴지기 8940 2014.07.28 15:18
530 [교육정책] ‘선행학습 금지법’에 할 말 있다(진보교육 52호) [1+1] 교컴지기 8892 2014.05.05 12:59
529 [교육철학] 교사의 성장과 사유 [3+2] 교컴지기 8796 2013.08.17 11:28
528 [교육사회] 학생지도, 개인적 자유와 민주적 시민성 사이 교컴지기 8779 2013.10.04 12:27
527 [교육사회] 현직교사 입장에서 본 교실붕괴 현상(99.9) 함영기 8731 2003.04.22 10:05
526 [사회문화] 너의 목소리가 들려(민들레 92호) [1] 교컴지기 8709 2014.04.28 17:38
525 [교육사회] 초중등 교사 문화, 고립화와 상호불간섭주의의 극복 교컴지기 8705 2014.08.17 16:47
524 [교수학습] 선생님 수학공부는 왜 해요? 교컴지기 8627 2014.01.12 11:10
523 [교수학습] 배움의 즐거움을 촉진하는 교사 교컴지기 8605 2013.07.26 14:57
522 [교육정책] 교장의 역할과 학교 교육력의 회복 교컴지기 8582 2013.04.08 09:55
521 [교사론] 교사와 학생의 만남을 허하라! 사진 교컴지기 8535 2013.03.26 21:28
520 [정치경제] 대통령의 사생활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8412 2016.11.17 08:19
519 [교수학습] 수업방법의 과도한 신념화를 경계함 [2] 교컴지기 8406 2013.04.16 09:15
518 [교육사회] 민주적 교실 생태계를 꿈꾸며 사진 교컴지기 8360 2015.02.15 1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