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컴로고초기화면으로 header_kyocom
교컴메뉴
교컴소개 이용안내 소셜교컴 나눔마당 배움마당 자료마당 교과마당 초등마당 특수마당 글로벌교컴 온라인프로젝트학습 교컴 UCC
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컴 키우기 자발적 후원


:::: 교컴가족 로그인(1)
김성중 (21:14)


교컴 포토갤러리

교컴지기 칼럼

[신간안내] 교사, 학습공동체에서 미래교육을 상상하다(함영기 지음)
교육의 주체가 그들의 언어로 미래교육을 상상하는 이야기


휘청거리는 오후

교컴지기 | 2018.01.15 11:40 | 조회 8288 | 공감 0 | 비공감 0

"... 이 정적, 이 무관심은 정말 견딜 수 없다. 이 공포감이 나만의 것이라니 정말 견딜 수 없다."(545쪽)

박완서의 소설 <휘청거리는 오후>는, 마지막 페이지에 섞여 있는 이 문장을 향해 달린다. 주인공 허 성씨가, 그의 아내와 세 딸이, 그리고 딸의 남자들이 각기 다른 캐릭터로 달린다. 그들은 매 장면마다 욕망을 '성실하게' 교직하며 서사를 이뤄간다.

"허 성씨의 왼쪽 손은 공장에서 절단기를 잘못 조작하다 손끝이 잘려나가 새끼손가락 길이로 일직선이었다." (13쪽)

이야기의 초입부에 소개하는 허 성씨의 왼쪽 손에 대한 묘사다. 저자가 펼쳐갈 스토리가 만만치 않음을 암시하는 일종의 상징이다. 이야기 곳곳에서 왼쪽 손이라는 장치는 허 성씨의 드러내고 싶지 않은 내면의 굴곡을 표현한다. 이 손에 대한 부끄러움을 느낄 때마다 어떤 큰 이벤트가 있다. 딸의 맞선 자리에서 들키지 않으려는, 또 지체있는 누군가를 상대할 때도 들키지 않았으면 하는... 왼쪽 손은 이 소설 전반에 걸쳐 자유에의 갈망과 그 속박을 상징한다.

"그리고 아무런 부끄러움도 없이 마음껏 내휘두를 수 있는 이 왼손의 자유는 또 무엇에 비길까"(51쪽)

끝내 정적 속에서 왼 손에 자유를 허락하기까지 주머니 속에서 속박 당했던 왼 손에 찾아든 순간적인 자유에 감탄하며 허 성씨는 그의 작고 지저분한 영토(공장)를 몇 바퀴 서성댄다. 사회로부터 고립되었을 때 오히려 왼쪽 손은 자유를 느낀다.

"두 사람 사이의 악수는 단순한 악수가 아니라 농밀한 교감을 위한 일종의 의식이었다."(530쪽)

유 영감이 아무하고나 안 하는 악수를 허 성씨와 하는 장면이며 허성 씨 역시 왼손에 뜨거운 자유를 허락하는 장면이다. 위의 몇 문장을 인용한 것은 주로 허 성씨의 왼 손에 대한 것이다. 시골의 초등학교 교감직을 그만두고 그가 택한 것은 아주 작은 공장. 그 공장에서 작업하다 잘려나간 왼쪽 손가락은 이 소설을 관통하는 기둥 줄기처럼 보인다. 그것을 측면에서 받쳐주는 것이 같은 일을 하면서 손을 잘린 유영감인데 위 문장은 그 두 손끼리 마주 잡았을 때 느끼는 농밀한 교감이다. 아무도 모르지만 그 두 손끼리는 아는, 일종의 애무를 동반한 고단한 삶에의 위무이다.

<휘청거리는 오후>를 집어 들었을 때, "... 이 정적, 이 무관심은 정말 견딜 수 없다."(545쪽) 라는 문장을 읽을 때까지도 내가 예전에 이 소설을 읽었었나, 언제였었나... 하는 물음에 답하지 못하였다. 한 문장 한 문장은 기시감으로 닥쳐 왔으되, 다른 한편으론 모든 문장과 모든 인물이 생소했다. 가장 중요한 결말이 전혀 생각나지 않았다. 고단한 일상의 중년 남자에 대한 묘사는 익숙하였지만 고비마다 한 번씩 떠올리게 되는 생각, 그래서 이 허 성씨의 결말은? 에 대한 답은 좀처럼 떠올리지 못하였다. 가위눌리듯 500여 쪽을 읽고, 그리고 결말을 확인하고서도 나는 끝내 내가 이 책을 처음으로 읽은 것인지 두번째인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확인하고자 노력을 했던 과정의 무의미함에 대한 깨침도 사실은 끝문장을 읽고 난 직후였다.

어떤 사람은 내면에 꿈틀거리는 속물근성을 아예 만천하에 드러냄으로써 삶의 위안을 삼고, 어떤 사람을 그것을 오장육부에 꽁꽁 숨겨둔 채 세련되고 우아한 페르소나를 만들어간다. 둘 다 용기가 필요한 일이다. 소설 속의 허 성씨는 견디듯 산다. 더는 자신의 삶을 스스로 용서하지 못하는 국면에 이르러 <견딜 수 없는 정적과 무관심>을 절감한다.

욕망을 드러내든, 숨기든 현대인들은 자기 욕망으로부터, 또 타자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소설은 묻는다. 이 삶은 도대체 내 삶이냐, 네 삶이냐, 너에게 보이고 싶은 내 삶이냐고.

<휘청거리는 오후, 1993, 박완서, 세계사>







좋아요! 싫어요!
twitter facebook me2day
613개(4/21페이지) rss
교컴지기 칼럼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오마이뉴스 기사로 보는 교컴지기 칼럼 모음 사진 교컴지기 152376 2012.11.15 14:23
공지 교육희망 칼럼 모음 사진 교컴지기 148593 2013.05.09 23:21
공지 교컴지기 일곱 번째 단행본 '교육사유' 출간 사진 첨부파일 [18+16] 교컴지기 165848 2014.01.14 22:23
공지 [신간] 아이들은 한 명 한 명 빛나야 한다 사진 첨부파일 [1] 교컴지기 91846 2019.10.23 16:05
공지 [교컴지기 신간] 교사, 책을 들다 사진 [1] 교컴지기 64425 2021.06.26 14:17
공지 [교컴지기 새책] 교사, 학습공동체에서 미래교육을 상상하다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45937 2023.02.19 07:04
517 [책이야기] 연필로 쓰기(김훈, 2019) 첨부파일 교컴지기 8337 2019.06.16 11:23
516 [교육과정]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적 인재, 모순적이며 기능적임 교컴지기 8324 2015.08.19 17:26
515 [교사론] 교사들의 아비투스 [3+5] 교컴지기 8320 2013.12.03 09:41
>> [책이야기] 휘청거리는 오후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8289 2018.01.15 11:40
513 [학생일반] 바람직한 학생문화의 정착을 위하여(97.8) 함영기 8265 2003.04.22 09:50
512 [사회문화] 두 단어의 거리는 멀어도 너무 멀구나 [2] 교컴지기 8203 2013.05.02 08:48
511 [교육정책] 미래학교는 어떤 학교인가, 어떤 학교여야 하는가? 비밀글 [1+1] 교컴지기 8203 2017.04.13 10:49
510 [교사론] 교사의 마음으로 전문직을 한다는 것 교컴지기 8198 2015.11.15 05:47
509 [학생일반] 학교폭력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교컴지기 8195 2013.02.03 07:11
508 [교육정책] 교육감 선거 이후, 동원과 참여 사이 [5+4] 교컴지기 8178 2014.06.06 23:37
507 [교수학습] 수업전문성의 재개념화를 위한 실천적 탐색 사진 교컴지기 8166 2015.02.08 08:01
506 [책이야기] 교육사유가 교육희망에 소개됐습니다 사진 [1] 교컴지기 8151 2014.03.25 16:19
505 [교육정책] 미래, 미래교육, 미래역량 비밀글 [1+1] 교컴지기 8131 2016.10.09 18:08
504 [교육과정] 진짜 창의성 이야기 사진 첨부파일 [1] 교컴지기 8107 2015.01.01 10:46
503 [교육정책] 새교육감 정책 제안 - 수업에 전념하는 교사 [2] 교컴지기 8092 2014.06.20 14:32
502 [사회문화] 허영과 냉소에 빠지지 않기 교컴지기 8031 2015.04.21 09:06
501 [교수학습] 수학과에서 시민교육하기 교컴지기 8020 2019.03.25 13:34
500 [교사론] '연수만능' 착시 걷어내자 [1] 교컴지기 8009 2013.05.07 10:28
499 [교수학습] 아이들이 수학을 즐기지 못하는 이유 셋 사진 첨부파일 [1] 교컴지기 8002 2012.12.25 15:41
498 [교육정책] 맥락없는 '선플'과 봉사점수 사진 [2] 교컴지기 7961 2013.04.26 09:00
497 [교육정책] 전면적 혁신으로 교육을 바꾸자 사진 [3+3] 교컴지기 7956 2014.06.07 17:56
496 [교육사회] 마이클 애플 초청 심포지엄 무기 연기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7955 2014.10.02 23:26
495 [교육철학] 한국의 혁신교육에서 듀이의 복권을 상상하다 [3+3] 교컴지기 7948 2013.08.22 20:09
494 [교육사회] 불편한 진실, 의무교육과 아동노동 [7+2] 교컴지기 7940 2014.01.03 13:34
493 [교사론] 초임 선생님들께 [2] 교컴지기 7937 2015.11.06 13:26
492 [교육사회] 특성화 고등학교 홍보팀 이야기 교컴지기 7924 2013.11.19 08:25
491 [이런저런] EQ 바람....왜 창의력인가(97.8) 함영기 7905 2003.04.22 09:49
490 [교육정책] 복지 공공성의 왜곡과 일탈, '돌봄교실' [2+1] 교컴지기 7896 2014.08.12 14:56
489 [학생일반] 학생인권조례, 이상과 현실 사이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7892 2010.07.09 18:41
488 [교육정책] 평범한 현장교사가 진보교육감의 효과를 체감하게 하라 교컴지기 7885 2014.07.12 1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