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컴로고초기화면으로 header_kyocom
교컴메뉴
교컴소개 이용안내 소셜교컴 나눔마당 배움마당 자료마당 교과마당 초등마당 특수마당 글로벌교컴 온라인프로젝트학습 교컴 UCC
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컴 키우기 자발적 후원


:::: 교컴가족 로그인(0)

  • 주간 검색어
  • 현재 검색어
  1. 초등
  2. 예시문만들기
  3. 동아리활동
  4. 어린이 독후감
  5. 중등
  6. 교과별 예시문
  7. 대회
  8. 점수자동생성기
  9. 이수인정
기간 : 현재기준

교컴 포토갤러리

교컴지기 칼럼

[신간안내] 교사, 학습공동체에서 미래교육을 상상하다(함영기 지음)
교육의 주체가 그들의 언어로 미래교육을 상상하는 이야기


교육과 게임의 법칙

교컴지기 | 2017.06.30 08:26 | 조회 7092 | 공감 0 | 비공감 0

미국 드라마 '프리즌 브레이크'는 연속하는 생사의 갈림길을 게임 위에 올려 놓고 있다. 권력과 소시민의 대결 구도를 기본으로 시작하더니 어느새 윤리도 정의도 없는 물고 물리는 게임 속 캐릭터로 등장인물들을 변모시킨다.

하루만에 적에서 동지로, 동지에서 적으로 변하는 캐릭터들은 오로지 물적 욕망, 사적인 복수 등으로 단단하게 뭉쳐있다. 간간히 사랑 코드가 등장하지만 곧 복수라는 '사적 대의' 앞에서 힘을 잃는다.

교육을 둘러싼 모든 다툼들은 불행하게도 '모든 시민들의 좋은 삶'을 지향하고 있지 못하다. 마치도 좋은 삶을 향유할 수 있는 대상은 그 양이 이미 정해져 있으니 무슨 수를 써서라도 그 정해진 소수에 합류하려는 과정을 합리화하는 거대한 게임으로 보인다.

우리 교육의 가장 큰 비극은 바로 이것이다. 대입제도 개선, 고교체제 단순화, 대학체제 개선, 나아가 국가교육위원회 설치에 대한 것도 '모든 시민들의 좋은 삶'을 위한 희망을 제시하지 못한다. 이 모든 것들은 소수에게 주어진 좋은 삶으로 가는 과정의 규칙을 정하는 것 이상이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공정'에 대한 허위의식을 키운다. 각자 게임에서 이기고 싶은데, 보다 유리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 서로 경계하고 긴장한다. 경쟁을 하는데 있어 심판, 규칙 등을 가능하면 나를 포함한 '내 편'으로 유리하게 정하려 한다. 대학입시를 중심으로 하는 모든 선발의 과정이 그렇게 작동한다.

그러다보니 나라의 지도자를 뽑을 때도 '교육적 가치를 구현할 수 있는 능력'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세속의 쟁투를 공정하게 관리할 수 있느냐"에 두고 배팅하는 방식이다. 정시와 수시가 어떻고, 학종이 어떻고, 자소서가 어떻고 하는 이 복잡한 과정들은 과연 교육일까, 게임일까?

어른들은 규칙과 심판을 정하는데 골몰하고, 아이들은 이 과정에서 '이기는 법'을 학습하고 내면화한다. 아이들을 가르치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이 문제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내가 하고 있는 것이 정말 교육인가? 나는 공정한 관리를 교직 생애 단단한 목표쯤으로 생각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등등의 되물음이 절실하다.

그렇지 않다면 미드 프리즌 브레이크처럼 아무런 맥락과 동기도 없이 그저 물고 물리며 사적 욕망의 추구를 위해 목숨을 내어 놓고 게임을 하는 그런 삶과 다를 바가 없지 않은가? 우리는 교육을 한다면서 고민의 초점은 늘 '게임의 법칙'을 세우는 것에 과잉 골몰해 왔다. 정책도, 부모도, 당사자 아이들도 너무 깊숙하게 이를 정당화하고 있어서 도무지 어디서부터 풀어야 할지 막막한.

좋아요! 싫어요!
twitter facebook me2day
613개(7/21페이지) rss
교컴지기 칼럼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오마이뉴스 기사로 보는 교컴지기 칼럼 모음 사진 교컴지기 152438 2012.11.15 14:23
공지 교육희망 칼럼 모음 사진 교컴지기 148683 2013.05.09 23:21
공지 교컴지기 일곱 번째 단행본 '교육사유' 출간 사진 첨부파일 [18+16] 교컴지기 165906 2014.01.14 22:23
공지 [신간] 아이들은 한 명 한 명 빛나야 한다 사진 첨부파일 [1] 교컴지기 91935 2019.10.23 16:05
공지 [교컴지기 신간] 교사, 책을 들다 사진 [1] 교컴지기 64493 2021.06.26 14:17
공지 [교컴지기 새책] 교사, 학습공동체에서 미래교육을 상상하다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45994 2023.02.19 07:04
427 [학생일반] 잘 듣는 능력을 가졌다는 것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7338 2013.03.24 22:03
426 [교사론] 아이에게 더 넓고 깊은 시야를 제공하기 사진 교컴지기 7333 2014.08.06 15:19
425 [교육정책] OO고등학교 김 선생님께, 사실은 초중고 모든 선생님들께 교컴지기 7320 2019.04.19 09:00
424 [교수학습] 수업담화, 수업에 접근하는 또 하나의 관점 [3+3] 교컴지기 7297 2013.04.10 08:59
423 [교사론] 치유적 글쓰기 [4+5] 교컴지기 7285 2013.06.27 10:57
422 [교육철학] 인간 행동의 변화를 야기하는 근원, 동기 교컴지기 7279 2013.09.30 11:01
421 [책이야기]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매우 비판적으로 읽기 교컴지기 7277 2016.09.08 08:39
420 [교육정책] 단위 수업 당 학생 수는 몇 명을 초과할 수 없다라는 규정 [2] 교컴지기 7277 2018.05.13 11:33
419 [교사론] 수석교사와 수업전문성 [1] 교컴지기 7276 2012.11.13 10:40
418 [교육정책] 교사들의 명함을 만들어준다는 서울교육청 교컴지기 7275 2013.05.20 23:20
417 [교육과정] 교육과정 재개념주의자들 이야기(3) 교컴지기 7272 2013.08.23 22:29
416 [교육정책] 교육 전문직 인사비리, 생길 수밖에 없다 [1] 교컴지기 7262 2013.02.15 20:21
415 [교육정책] 새 정부 교육정책 성공을 위한 서울교육청의 제안 사진 교컴지기 7262 2017.08.09 15:48
414 [교원단체] 교컴 역사 속으로, 프롤로그 첨부파일 교컴지기 7251 2015.08.30 05:14
413 [교육사회] 교육 황폐화를 막는 방법 교컴지기 7250 2013.06.13 08:46
412 [책이야기] ‘교사로 살기’에 관한 고백적 서사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7250 2015.11.12 17:52
411 [교사론] 소모적인 일에 너무 진지하게 매달리는 김선생님께 [2] 교컴지기 7230 2013.07.10 11:01
410 [교육과정] 교육과정 개정에 앞서, 대통령의 교육공약을 실천하라 첨부파일 교컴지기 7227 2014.09.14 14:51
409 [교육정책] 교육혁신에 대하여 비교하며 읽는 글 사진 [2] 교컴지기 7226 2014.08.12 08:57
408 [사회문화] 부모 교육학(1) - '과잉'에 관한 세 가지 이야기 교컴지기 7175 2014.01.29 09:17
407 [책이야기] 나를 기다리는 아이들, 너희들 때문에 이 책을 썼다 [2] 교컴지기 7170 2014.12.07 19:43
406 [교육사회] 교육, 과잉이 고통을 부른다 [1+1] 교컴지기 7160 2013.06.24 10:54
405 [정치경제] 새누리당의 승리, 이미지 전략에서 앞섰다 사진 교컴지기 7135 2012.12.24 09:40
404 [교사론] 오늘도 너무 바빠 종종 걸음 중이신 김선생님께 교컴지기 7133 2013.07.11 09:35
403 [교원단체] 참교육 실현의 토대 전교조 합법화(98.3) 함영기 7119 2003.04.22 09:51
>> [사회문화] 교육과 게임의 법칙 교컴지기 7093 2017.06.30 08:26
401 [교육철학] 교육은 본래 시민의 의무이자 권리였다 [1] 교컴지기 7091 2013.08.05 11:01
400 [교사론] 들어가기, 나오기, 거리두기 [2+1] 교컴지기 7080 2015.08.23 11:46
399 [교육정책] 배움의 공간에 대한 지극히 사적인 이야기 교컴지기 7077 2019.03.29 09:56
398 [교육정책] 전망은 지극히 간결하고 단순한 곳에 사진 교컴지기 7070 2014.07.24 15:34